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셀
쎌
샐
쌜
세포
뉴스
"
cell
"(으)로 총 32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연구의 지평을 넓혀 다세포생물에서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세포유착분자(
cell
adhesion molecule, CAM)’를 발견했다. 그 뒤 뇌과학 분야로 진출한 에델만은 신경계가 면역계와 비슷하게 작동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1977년 ‘신경다윈주의(Neural Darwinism)’를 제창한다. 즉 에델만이 항체의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알았다. 논문은 초파리의 날개 발생 과정에서 세포들 사이에 일어나는 세포경쟁(
cell
competition)의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내용이다. 즉 유전적 변이로 활력이 떨어진 세포는 주위의 정상 세포로부터 어떤 신호를 받아 세포자살의 길로 들어서는데 이 과정에 선천면역계(innate immunity) 경로가 ... ...
아빠가 ‘슈거홀릭’이면 자녀가 비만?
2014.12.08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수컷 초파리가 단 것을 많이 먹은 뒤 짝짓기를 하면 새끼에게서 비만이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초파리와 비슷한 비만 조절 시스템 ... 치료에 새로운 관점을 던져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Cell
)’ 4일자에 발표됐다. ... ...
줄기세포 치료제 부작용 없앤다
2014.12.08
KAIST 생명과학과 한용만(왼쪽), 이대엽(오른쪽) 교수.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난치병 치료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줄기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핵심 인 ...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셀 스템 셀(
Cell
Stem
Cell
)’ 4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초기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조절 현상 최초 규명
2014.11.23
김빛내리 IBS 단장. - IBS 제공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팀이 마이크로RNA가 초기 배아에서 조절되는 기전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마이크로RNA는 2 ... 말했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인 ‘셀’의 자매지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 1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활성산소 손은 약손?
2014.10.14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공공의 적’으로 불리는 활성산소. 흔히 노화와 암 등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활성산소는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호흡과정에서 발생해 DNA와 RNA ...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셀의 자매지인 ‘디벨롭먼탈 셀(Developmental
Cell
)’ 13일자에 실렸다.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네 쪽에 걸쳐 자세히 다뤘다. 대중들도 알기 쉬운 ‘뇌 GPS’로 비유되는 격자세포(grid
cell
)를 발견한 공로로 수상한 이들 부부는 1983년 노르웨이 오슬로대에서 처음 만나 2년 뒤 일찌감치 결혼했다. 남편 에드바르드(Edvard Moser)는 1962년 생, 아내 마이브리트(May-Britt)는 한 살 아래인 1963년 생이다. 2014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기억 저장 이론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해마(hippocampus)의 신경세포에서 ‘장소세포(place
cell
)’와 같은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며, 그 현상이 장소 기억으로 어떻게 저장이 되는지에 대해 박사 논문을 쓰기로 정했다. 오키프 교수는 특정 장소에서만 전기신호를 발화해 장소 정보를 처리하도록 특화된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GPS’로 불리며 뇌가 장소를 인지해 다른 장소로 찾아갈 수 있게 만드는 ‘장소세포(place
cell
)’를 찾아낸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미국 태생으로 미국 국적뿐 아니라 영국 시민권도 있는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 속 해마에 존재하는 장소세포가 현재 위치를 기억할 수 있게 ... ...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km 정도인 거대한 적란운을 만드는데, 이 적란운이 토네이도의 씨앗이 되는 ‘슈퍼셀(super
cell
)’ 역할을 한다. 오 교수는 “슈퍼셀 상층 공기가 차가워지면 지상의 따뜻한 공기를 빨아들이는데, 이 과정에서 회전력이 발생하고 토네이도가 된다”며 “슈퍼셀의 크기에 따라 토네이도의 속도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