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거다. 그런데 지구에 있는 알약의 색깔은 어느 순간 실재가 되는 걸까? 4광년 떨어진 곳에서 파란색이라고 알게 되는 그 순간 지구의 알약도 빨간색이 된다는 것이 양자역학의 표준해석이다.우주에선 어떤 정보도 빛보다 빨리 이동할 수 없다. 그렇다면 파란색이라는 관측 결과가 지구로 도달하는 4년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눈으로 보고 싶었다. 이왕이면 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분야이길 원했다. 그렇게 찾아간 곳이 열플라스마 가공업체 ‘플라즈닉스’였다. 2월 12일, 인천 남동공단 43B-3L 건물을 찾았다. 10명 남짓의 연구원들과 백광현 플라즈닉스 대표가 기자를 반갑게 맞았다.Q 공장 1층에 기계가 가득하던데요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해도 ‘딸깍’ 하는 소리를 내고 바나나를 보상으로 줘요. 그러다 점점 이 냄새가 나는 곳을 찾아내면 소리를 내고 바나나를 주는 식으로 학습시키지요.아포포에서는 살모넬라균 감염자를 찾거나 붕괴 현장에서 피해자를 찾는 등 앞으로 더 다양한 분야에 영웅쥐들을 활용할 예정이랍니다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곳에 약 10시간 동안 뒀다가 밝은 곳에 내놓으니 꽃눈에서 꽃이 피었다. 그런데 밝은 곳에 내놓기 전에 잎을 모두 따버리면 꽃이 피지 않았다. 그는 햇볕을 받으면 잎에서 개화호르몬이 만들어져 줄기를 타고 끝부분으로 가 꽃을 피운다고 결론지었다.과학자들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식물에서도 ...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가우스는 우주에 떠 있는 둥근 행성 하나를 가리키며 말했다. 단은 가우스가 가리키는 곳을 쳐다보았지만, 삼각형은 보이지 않았다. 세 개의 곡선으로 이뤄진 볼록한 도형이 있을 뿐이었다.“삼각형이라니 무슨 소리예요? 앗, 설마! 저기 곡선으로 이뤄진 뚱뚱한 도형을 말하는 거예요?”“곡선이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찾는 과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우주의 관점에서 불빛은 곧 은하다. 은하의 밀도가 높은 곳엔 물질을 뭉쳐 별과 은하를 생성시키는 암흑물질이 존재할 확률이 높다. 또 은하가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조사하면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물론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치지 않고 사회에 기여한다.배스 교수는 언젠가 시체농장에서 일하고 있던 내게 “이곳은 죽음이 아니라 삶의 공간”이라고 했다. 시신 기증자의 삶은 마무리됐지만 바로 이어서 온갖 다른 생명체들이 각자의 방식대로 시신을 분해하며 살아가고, 이런 과정을 살아있는 사람들이 연구한다. 많은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프리카 남동쪽에 위치한 마다가스카르 섬은 백악기 때도 지금처럼 고립된 곳이었다. 당시에는 모든 대륙에서 초식공룡인 갑옷공룡이 존재했는데, 이들은 키가 작은 식물을 뜯어 먹었다. 하지만 마다가스카르는 갑옷공룡이 이주하기도 전에 이미 아프리카로부터 분리되는 바람에 갑옷공룡이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학동아리를 선발, 지원하고, 학교 과학실을 사물인터넷 등 ICT 활용이 가능한 곳으로 개선할 계획도 하고 있다. “학교를 메이커활동의 거점으로 만드는 것 같다”는 말에 그는 “그렇다”고 답했다.“미래 세대를 위해서는 많은 걸 바꿔야 합니다. 미래 세대에 필요한 소양이 뭔지 사회적 고민이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정윤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의 연구 분야는 조금 특별하다. 학부 내에서 유일하게 레이저를 연구하고 있다. ‘전기․정보공학부=반도체’로 생각했다는 기자 ... 좀 더 능동적인 학생이 됐으면 합니다. 100점이라는 험 점수에 얽매이지 말고, 좀 더 높은 곳을 바라보길 바랍니다 ... ...
이전306307308309310311312313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