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개천가에서 막대 등으로 모자를 건지려 한다. 하지만 마도카는 모자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 기다린다. 그럼 모자는 마법에라도 걸린 듯이 개천을 따라 마도카가 있는 자리까지 흘러간다. 마도카와 함께 있으면 우연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운수가 좋은 일들이 이어진다!연쇄적으로 일어난 ...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중앙아시아에서 약 1만 5000년 전 고대 늑대가 개로 진화했으며, 여기서부터 다른 곳으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품종으로 진화했다고 결론내렸어요.사람과 친한 개…, 얼굴이 귀여운 이유는?한편 미국 브라운대 진화생물생태학과 크리스틴 재니스 교수팀은 개의 조상 화석을 연구한 결과, 기후변화에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열매가 열리지요.하지만 나무에서 내려와 직립보행을 택한 인류가 다른 영장류처럼 높은 곳의 열매를 따먹기는 어려웠을 거예요. 또 이런 열매는 초식공룡도 좋아할 가능성이 높아요. 결국 공룡이 먹고 남은 열매나 땅에 떨어진 열매가 인류의 몫으로 남았을 거예요.다행히 열매로 채우지 못한 ... ...
- [Nesw & Issue] 생체조직 투명하게 만드는 데 단 6시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생체 조직을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해 염색하는 ‘면역염색’ 기술도 몸속 더 깊숙한 곳까지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조직이 투명해지면 항체의 침투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선 교수는 “생체조직을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며 “향후 뇌지도 작성에 필요한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연구결과도 있다. 2011년 9월 미국 조지메이슨대 브론윈 데브린 연구원은 유속이 빠른 곳에 놓은 증거물일수록 지문이 빨리 사라진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어찌 보면 당연한 연구결과지만, 그동안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일에 착수해 수치화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북청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같은 원생생물)학자가 손을 잡고 익사체 내부의 플랑크톤을 분석해 논문을 쏟아내는 곳이기도 하다.김 교수는 스승인 황적준 고려대 교수를 보고 법의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황 교수는 1987년 서울대 박종철 학생의 고문치사 사건 당시 검시를 맡았던 법의학자로, 정권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박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자라면 함께 모여서 다세포 유기체를 이룬다. 이 중 어떤 아메바들은 포자가 돼 다른 곳으로 퍼져 나가 계속 번식하게 된다. 반면에 어떤 아메바들은 기꺼이 자기 목숨을 던져서 포자를 떠받쳐주는 받침대가 된다. 물론 인간 사회의 고결한 헌신과 봉사, 자기희생을 빼놓을 순 없다. 내전으로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등장했다고 봅니다. 요즘 제대로 된 한식간장을 맛보려면 직접 간장을 담그거나 특별한 곳에 주문을 해야 해요.전통간장은 다른 간장에 비해 색이 옅은 반면 더 짜요. 그래서 국물 요리에 쓰면 좋아요. 국물의 원래 색깔이 유지되는데다 시원한 맛을 잘 살려냅니다. 즉 갓 만든 전통간장은 국간장인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최저 기온은 영하 89.2℃. 수 분만에 인간의 눈, 코, 심지어 폐까지 얼어붙게 한다. 이런 곳에서 물을 공중에 흩뿌리면 그 자리에서 얼음으로 바뀌고 만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영하 15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극저온 상태의 물이 20년 만에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이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수 있습니다. 기둥 위에만 공포가 있는 경우를 ‘주심포 양식’이라고 합니다. 주요한 곳에만 공포가 있다는 뜻입니다. 배례청에서 찾아볼 수 있지요. 반면 기둥과 기둥 사이에 ‘창방’과 ‘평방’이라는 건축 자재를 올리고 그 위에 공포를 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전으로 들어가는안쪽 문인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