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원래 있던 건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르면 하반기부터는 1350명의 과학자가 이곳에 모여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 범위는 생명과 157학 전체. 줄기세포, 뇌과학, 유전자 연구, 합성생물학, 면역 등에서 120여 개 연구가 계획돼 있다.크릭 연구소를 방문하는 사람이라면 내부 디자인을 ...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머니나, 싸이월드의 도토리 등도 가상화폐에 속해요. 하지만 기존의 가상화폐는 사용할 곳도 많지 않고, 한번 구입하면 다시 현금으로 바꿀 수 없다는 것이 약점이었어요.그런데 비트코인은 좀 달라요. 비트코인은 실제 돈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온오프라인에서 모두 쓸 수 있거든요. 2009년 익명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줄임말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물건’이란 뜻이에요.사물 인터넷은 지금도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면 사람이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기계가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야 할 일을 찾아낼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역에 있는 사물함들 중에는 사물 ... ...
- [재미]눈사람 만들려면 가루눈보다 함박눈!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루처럼 날려요. 결정도 육각형이 아닌 기둥 모양이랍니다. 이런 날씨에는 눈이 쌓인 곳을 밟았을 때도 눈이 서로 엉겨 붙지 않아서 뽀드득 소리가 크게 난답니다. 즉 대기가 춥고 건조하면 수분이 적은 가루눈이 내리기 때문에, 쌓일 정도로 많이 내리더라도 눈덩이가 뭉쳐지지 않는 것이지요.눈 ...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갑자기 사람이 튀어나온다면? 생각만으로도 아찔한 사고에 대비해 시야가 닿지 않는 곳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눈으로 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영국 헤리엇와트대 제네비에브 가리에피 교수팀은 바닥에 레이저 빔을 쏜 뒤 물체에 부딪쳐 산란된 레이저를 검출해 물체의 위치를 역추적하는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럼 원래 정사각형이 있던 곳엔 아무것도 남지 않았어야 한다.그런데 알다시피 그 곳엔 아직 엄청나게 많은, 크고 작은 기하학 구조들이 남아있다. 그리고 그 면적의 합은 0이다. 이 구조가 바로 프랙탈이다. 수학적으로 프랙탈의 차원을 구해보면, 1과 2 사이의 무리수 값(log8/log3 ≈ 1.8928 ) 이 ...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들에게 건네 줄 단 하나의 이론도 표준모형일 가능성이 높다. 일상에서 우주 깊은 곳까지 설명하는 표준모형을 A부터 Z까지 상세히 마스터해 보자. 그리고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미래의 물리학이 무엇일지도 점검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 1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여왕의 의식을 자극하고 깨울 생각이었지. 여긴 우리가 그 목적을 위해 3000년 전에 만든 곳이야. 그리고 당신은 여왕에게 들려줄 이야기꾼으로 선택되었어. 당신은 부스터가 아니라고 그랬지? 당신이 지금까지 보고 들으며 머릿속으로 지어온 모든 이야기야말로 우리 모험의 목표였어. 여왕은 꿈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함께 조사를 하다 보니 집 근처에 왕릉이 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답니다. 처음에 간 곳은 서삼릉인데 그중에 효릉이 비공개라는 사실이 매우 의아했어요. 알아 보니 축협 사유지의 가운데 있기 때문이었지요.몇 번의 시도 끝에 겨우 허락을 받아 답사를 하게 됐는데, 오히려 이런 일들이 저의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설명했다. 그리고 다음에 생길 초대륙은 판게아의 중심으로부터 약 90° 만큼 꺾인 곳에 생길 거라고 예측했다.시뮬레이션 결과 연구팀은 약 5000만 년 뒤에는 지금의 북극해 자리에 아메리카와 아시아 대륙이 합쳐진 초대륙이, 약 2억 년 뒤에는 거기에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도 붙어버린 초대륙이 생길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