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비슷하다. 그러나 높은 온도와 압력 때문에 금성에 착륙했던 탐사선은 길어야 한 시간
밖
에 견디지 못했다. 유럽우주국은 금성의 두꺼운 대기층에 떠다니는 미생물의 존재에 대해 주목했다. 산성을 띠는 두꺼운 구름은 미생물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차단제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 ...
표면장력으로 물방울이 송알송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표면에 있는 물분자는 공기와 맞닿아 있어서 물속에 있는 물분자에 비해 그 힘이 반
밖
에 안 됩니다. 그 대신 생기는 것이 표면장력이지요. 표면을 작게 하려는 힘으로 자꾸 오그라들려하니 그 모습은 점점 둥글게되는 것이지요. 표면장력은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이슬방울이 풀잎에 둥글게 ... ...
이젠 나를 잊었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청소기의 전선감기 등에 사용되고 있답니다.이제는 추억속의 장난감일뿐 친구들의 관심
밖
으로 밀려난 태엽장난감. 태엽을 감아주기전에는 움직일 수 없는 장난감들은 친구들이 태엽을 감아주기를 어디선가 조용히 기다리고 있을지도 몰라요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붙이면 정교한 근육 움직임과 표정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물질 속에 있는 전자 하나를
밖
으로 끌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의 일 또는 에너지 단위는 전자볼트(eV)를 쓴다지방을 가수분해하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된다 이 가운데 글리세롤과 결합 고리를 끊고 튀어나가려는 지방산을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송 박사는 내년 종신 연구원에 임용될 것으로 예상된다.송 박사는 지난 7월 태양계
밖
에서 지구형 행성이 존재한다는 간접 증거를 발견해 영국의 과학전문지‘네이처’에 발표했고, 표박사는 지난해 12월 목성의 가장 안쪽 위성 ‘아말데아’가 먼 바깥쪽에서 만들어진 후 현재의 자리로 이동했다는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안 박사도 어린 시절부터 별 사랑이 남달랐다.“초등학교 5학년 때 월식을 보려고 집
밖
으로 나왔어요. 그때만 해도 월식이 금방 끝나는줄 알았죠. 겨울이었는데 1시간이나 보다가 하도 추워 집에 들어가 몸을 녹이고 다시 나왔는데도 여전히 계속되더군요.”별이 좋아 천문학과에 갔지만 망원경으로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어려워 헬리코박터가 안전하게 살 수 있다. 또 헬리코박터는 요소분해효소를 몸
밖
으로 내보낸다. 이 효소가 위점액 속에 들어 있는 요소를 암모니아로 분해해 보호막을 만든다. 염기성인 암모니아로 위산을 중화하는 것이다.헬리코박터는 선진국에서는 감염률이 낮고 개발도상국은 감염률이 70%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기상 전문가 등 해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도메인 전문가)가 필요하다. 그
밖
에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전문가, 확률·통계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전문가들이 모여 지식을 공유해야 실제 상황을 가장 잘 재연할 수 있기 때문에 협조는 필수적이다. 가상공간에서 갖춘 최신 무장미국도 연구팀의 ... ...
위성영상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국내에서도 서울의 강남 지역을 포함한 도심에서만 1m급 해상도의 영상이 제공되고 그
밖
의 지역에서는 해상도가 떨어진다.구글 어스보다 더 큰 문제는 국내 위성영상의 해상도 규제 기준이다. 오는 11월 아리랑위성 2호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할 경우 한국은 세계에서 해상도 1m급의 정밀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뇌졸중 같은 병을 정복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에서다. 뇌뿐 아니다. 그는 눈을 ‘
밖
에서 보이는 뇌’라고 말한다.“눈 안에 들어온 빛은 유리체란 액체를 통과해 망막에 물체의 상을 맺게 합니다. 그 중간에 방해물이 없어야 상이 제대로 맺히죠. 당뇨병 환자는 빛이 지나는 곳에 혈관이 마구 자라는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