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각뿔 모양 영양 창고 간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간이 없으면 음식을 먹어도 몸으로 흡수되지 못해 결국 굶어죽는다.병을 진단할 때는 몸
밖
에서 간을 만지기도 한다. 오른쪽 12번째 갈비뼈 아래를 손가락으로 만지면 간을 만질 수 있다. 뚜렷하게 만져지는 경우는 간이 커져 있는 상태다. 이때는 지방간이나 종괴가 생긴 것으로 의심해야 한다. 전혀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번식한다 알을 낳는 경우를 난생, 새끼를 낳는 경우를 태생이라고 한다 그런데 알이
밖
으로 배출되지 않고 어미의 뱃속에서 자라 새끼로 태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난태생이라고 한다 난태생은 난황을 먹고 자란다는 점에서 탯줄을 통해 어미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태생과 다르다 대표적인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것이다. 예컨대 전자는 힉스장과 약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질량이 겨우 9.1×10-31kg
밖
에 되지 않지만 양성자는 힉스장과 강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질량이 전자질량의 2000배나 된다. 만약 힉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물질과 우주가 현재의 질량을 갖게 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이렇게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의 기둥)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물
밖
에 내어 사용한다 잠수함은 물 속에서 주로 활동하므로 수상함정에 비해 중요성이 크지 않다함교에 있는 ESM은 적이 레이더로 탐지하고자 할 때 이를 미리 발견해 잠수함이 수중으로 회피할 수 있게 해주는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거대한 습곡산맥이나 해구, 호상열도 등이 발달하고 화산과 지진이 활발하다블랙홀 안과
밖
의 경계를 말한다 빛이나 물질이 사건의 지평선에 다다르면 더 이상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래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보이지 않는다물질은 소용돌이처럼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다 이때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행성이 만들어진 초기 모습 뿐만 아니라 최초로 태양계
밖
에 존재하는 거대행성의 모습을 직접 촬영할 계획이다. 유럽남반구천문대(ESO)도 4대의 8m급 망원경으로 고해상력의 대형망원경간섭기기 시스템을 만들어 외계행성 탐사관측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두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심었다. 일반인 출입을 통제해 이 일대를 ‘철새의 낙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이
밖
에도 청계천 주변은 옥잠화, 좀작살나무 등 다양한 나무와 풀이 자라는 야생의 식물원으로 거듭나고 있다. 물에 잠겨도 죽지 않는 갯버들, 갈대, 노랑꽃창포, 달뿌리풀, 물억새 등 수생식물도 자리를 잡기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비율이 항상 같다는 점을 보이는 것이었지 대기 중에 있을지도 모르는 불순물은 관심
밖
이었다.레일리가 아르곤을 발견한 것은 1880년대 초 원자량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는 영국의 윌리엄 프라우트가 1815년에 주장한 대로 원소의 원자량은 수소 원자량의 정수배여야 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 ...
아기 블랙홀의 트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수준의 또 다른 X선 폭발이 일어난 것을 확인했다. 버로우 교수는 “갓 태어난 블랙홀이
밖
으로 분출하는 물질을 다시 잡아먹다가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며 “블랙홀이 트림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사이언스’ 8월 19일자에 실렸다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개는 난소에 들어 있는 난자가 미성숙 난자다. 이 난자를 몸
밖
에서 성숙시키는 방법도 아직 없다. 호르몬을 투여해 난자를 마음대로 과배란시키는 것도 아직 불가능하다.연구팀은 개의 난자가 난소에서 길이 12cm의 난관을 통해 자궁까지 이동하면서 성숙해진다는 사실에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