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화유전자 FT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식물체는 잎이 4장쯤 됐을때 벌써 꽃이 펴 버렸다. 연구자들은 이 개체에서 전사 인핸서 위치를 알아낸 뒤 주변 유전자의 전사 정도를 확인했다.그 결과 전사 인핸서 옆에 있는 조그만 단백질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의 전령RNA(mRNA)가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근처가 고장 난 ...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비췄을 때 거리에 있는 상점들의 부동산 정보가 실제 사진과 겹쳐 보이게 한다거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을 보여주는 식이다.이런 모바일 증강현실은 언제 어디서든휴대전화만 있으면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직까지는 디지털 콘텐츠를 단순히 덧입혀 보여주는 ... ...
-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수급 빨간 불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안정적인 원소로 바뀌는데, 그 순간을 민감한 카메라로 포착하면 응혈, 종양 등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치료용으로도 활용되는데, 미국의 핵의학자인 샘 세이들린 박사는 1946년 요오드(I-131)를 갑상샘암 환자에게 투여해 치료에 성공했다는 결과를 의학전문지 ‘미국의사협회’에 소개했다. ...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관련된 정보를 최우선으로 보내줘야 한다. 아이폰이 인기를 끄는 이유도 컴퓨터와 통신, 위치추적기능들이 지도와 유연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몇몇 기업들도 이런 영상지도서비스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지도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 ...
- 감각이 일어나는 경로과학동아 l2010년 03호
- , 대뇌가 반사의 중심이 되지는 않습니다. 연수반사는 연수가 반사의 중심이 되며 장기의 위치나 신호의 종류(자극 또는 이완)에 따라 척수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척수는 뇌와 말초신경 사이의 흥분전달 통로이며, 척수반사는 무릎반사, 발한, 배뇨, 배변 등의 반사를 ... ...
- 진화의 실험실, 갈라파고스에 가다 2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모양의 섬들이 생긴다는 이론, 이 이론에 의한 섬으로는 하와이가 있다. 점심으로 샌드위치와 물을 준비해 이사벨라 섬(알베마를 섬)의 시에라네그로 화산으로 향했다. 우리 말고도 이 화산을 보기 위해 십대 청소년들과 이십대 젊은이들은 걸어서, 육십대 이상의 노인들은 말을 타고 산을 오르고 ...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수학동아 l2010년 03호
- 그 시계의 오차는 3만 6000년에 1초입니다.오차가 굉장히 작은 GPS는 정밀도가 높아 단순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항공기 등의 운송기관에 대한 자동항법 및 교통관제, 충돌방지, 지도제작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360° : 2πR = 7.2° : 925km2πR(지구의 둘레) ≒ 46250km기원전 20 ...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저녁에는 화성과 토성이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행성들이 어느 별자리 가까이에 위치하는지를 관측해 전통적인 점성술 체계에 따라 그 의미를 풀어 볼 예정이다.전통천문학에서 사용된 점성술의 원형은 사마천의 ‘사기 천관서’에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편집된 점성술서 중 대표적인 ...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얇지만 OCT로 보면 여러 겹의 구조로 돼 있다”며 “종이와 잉크, 숨은 은선, 홀로그램의 위치를 깊이에 따라 OCT로 구분해서 위조지폐를 찾아냈다”고 설명했다.OCT는 진주의 품질을 구분하는 데도 사용된다. 조개에 진주의 핵을 심어서 바닷물에서 키운 해수진주는 모양이 완벽한 구에 가까운 반면, ...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또 있다. 김홍구 미국 피츠버그대 나노연구센터장은 “달 탐사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던 미국이 계획을 취소하고, 입자 가속기도 만들기를 포기했는데, 이는 할 수 있느냐 없으냐의 문제가 아니라 꼭 해야 하느냐는 필요성이 상상력을 향해가는 과학기술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는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