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수학동아 l2010년 01호
- 모두 좌표평면입니다.그뿐 아니라 천문학 연구에도 좌표는 꼭 필요합니다. 천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좌표계는 관측자의 지평선을 기준으로 한 지평좌표계와 천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한 적도좌표계가 있습니다.이처럼 다양한 분야에 좌표가 쓰이고 있는데, 좌표는 데카르트의 좌표만 있는 것은 ...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응용할 수 있다.위성을 쫓는 데는 레이저와 함께 광학 기술도 사용된다. 레이저로 위성 위치는 알아낼 수 있지만 어떤 위성인지는 알 수 없다. 우주를 살펴보는 천체망원경을 통해서라면 식별이 가능하다. 하지만 천천히 도는 천체를 관찰하기 위해 만든 망원경은 빠르게 날아가는 위성을 포착하기 ...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올림피아드와 심층면접을 준비하는 추세다. 3단계 전형 보는 한국과학영재학교 부산에 위치한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입학사정관 전형과 일반전형 두 과정으로 입시전형이 실시된다. 입학사정관 전형은 1단계 서류심사와 2단계 면접으로 진행된다. 일반전형은 1단계 서류심사, 2단계 창의적 문제해결력 ...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위에서 서까래를 받치고 있는 도리.*중도리 : 주심도리와 용마루를 받치는 도리 중간에 위치하는 도리.*처마 : 기둥의 바깥쪽에 자리 잡은 지붕이나 그 아랫부분.*용마루 : 지붕 꼭대기에 기와를 쌓아 만든 작은 담.*범종 : 때나 시간을 알릴 때 절에서 쓰던 종.*Hz : 주파수 단위로 1Hz는 ‘1초에 한 ... ...
- 타임머신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즉 우리가 사는 공간은 3차원인 것이죠. 좌표를 이용하면 3개의 축과 수를 이용해 위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되는 것이죠. 원뿔, 육면체 등의 입체도형은 3차원 공간에 있으며,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물체는 3차원 물체입니다. 그런데 이 ... ...
- 2010년 남아공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대개 32개 패널을 이어 붙인 ‘구형에 아주 가까운 다각형’이다. 전문가들은 16개 위치에서 자블라니의 지름을 측정했다. 국제축구연맹(FIFA)에서 정한 기준에 따르면 축구공의 지름이 가장 크게 측정된 값과 가장 작게 측정된 값의 차이는 1.5% 이하여야 한다. 아디다스는 “자블라니는 최대와 최소 ...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이날 인도 남부와 중국 남부에서는 해가 달에 가려 금반지 모양이 되는 금환일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해의 일부만 가려지는 부분일 ... 연구원들이 촬영한 희귀한 천체 사진도 상당수 포함됐다. 또 전국 62개 주요 천문대 위치와 연락처, 홈페이지 정보를지도와 함께 수록했다 ... ...
- 몸이 느끼는 편안함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사무실처럼 넓은 공간에서는 위치에 따라 온도가 다르기 마련이다. 이 때 자신의 위치가 쾌적한지 확인할 수 있는 공식이 있다. 공식에 따른 값이 -1.7에서 1.1 사이에 있고, 풍속이 초속 0.35m 아래일 때 쾌적하다고 할 수 있다.쾌적도 = (자기 자리의 온도 - 실내평균온도) - 8 × (자기 자리의 풍속 - 0.15 ...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촬영을 지원한다. 1000만 화소와 1000분의 1초 셔터 속도, ISO 1600을 지원한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찍은 이미지 2개를 합성해 입체 사진을 만들 수도 있다. 일정 간격의 시차를 두고 촬영한 사진도 순식간에 입체 사진이 된다. 초당 30프레임의 입체 동영상 촬영도 가능하다. 물론 보통의 2차원 사진도 ...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하천이 생물도 아닌데 어떻게 ‘스마트’라는 표현을 쓸까. 최신 휴대전화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알려주고 길을 찾아주듯이, 스마트 리버는 정보기술(IT)이 접목돼 하천에 생기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이다.“하천은 우리 몸의 핏줄처럼 전 국토에 퍼져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