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묻고 있다. 이 내용은 중1 과정과 곧바로 이어진다. 교과서에서는 선대칭 도형과 선대칭
위치
에 있는 도형을 엄격히 구별한다. 대칭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 관계에 있는 두 도형을 그리는 것은 언제든 가능하다. 하지만 대칭축이 도형 내부에 있는 도형은 그 모양에서 완벽함과 아름다움을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을 설계하는 단계에서부터 오르간이 들어갈
위치
와 크기를 미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르간을 연주할 때 건물 공간에서 2.5~3초 동안의 잔향을 만들어야 악기 소리가 풍부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건물을 지은 뒤 그 공간에서 알맞은 잔향이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883년 8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
위치
한 크라카토아 화산이 대폭발을 했다. 몇 달 전부터 자잘하게 입김을 내뿜어왔던 화산은 그동안 참아왔던 성미를 한 방에 마구 쏟아내는 듯했다. 당시 폭발은 수마트라 섬의 절반을 지도에서 날려버릴 만큼 가공할 만한 것이었다.바다 건너에 있는 ... ...
The Limits of Internet?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지혜의 핵심을 현존하는 페이지에 덧붙이길 갑자기 망설이기 시작했다. 캘리포니아에
위치
한 팔로 알토 연구센터의 컴퓨터공학자 에드 카이 박사는 “처음 우리가 이것을 발견했을 때에는 순간적인 하락으로 생각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키피디아는 2007년 3월에 기고자 82만 명이라는 최대치를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오차는 6m 정도다. 박쥐가 동굴 벽에 반사된 초음파가 두 귀에 도달하는 차이를 이용해
위치
정보를 얻는 것과 같은 원리다.김 박사는 “이전 탐사에서는 배가 지나가다 해저 카메라로 흥미로운 영상을 찍어도 다시 그 지점을 찾지 못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며 “이번엔 USBL을 장착해 좀 더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현장 연결하겠습니다! 이슈 소개이제부터는 우측보행 이 곳은 아시아 대륙 동쪽 끝에
위치
한 대한민국입니다. 이 나라에서는 요즘 걸어갈 때 이용하는 길의 방향을 바꾸자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어요. 길 왼쪽에 서서 걷던 오랜 습관을 바꿔서 길의 오른쪽으로 걷자는 이야기인데요, 이 나라 ... ...
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50S단위체)과 라마크리슈난 박사팀과 요나스 박사팀(30S단위체)이 마침내 원자 하나하나의
위치
를 알 수 있는 고해상도 구조를 규명했다. 이듬해에는 놀러 박사팀이 리보솜의 중해상도 구조를 밝혔고, 마침내 2005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도드너 케이트 교수팀이 리보솜의 고해상도 구조를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계획했던 지점보다 조류 특성은 조금 약하지만 진도대교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지금의
위치
로 옮겼다. 이런 우여곡절 때문에 2005년 4월에 시작한 공사가 지난 3월에나 마무리됐다.연간 1000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조류발전을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 박 연구원은 “현재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뿐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환경오염도 심해진다. 하지만 단등교는 주탑이 설치될
위치
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설계에 어려움이 많았다. 주탑 좌우 상판의 길이가 달라지면 주탑 좌우에 걸리는 인장력에도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최현석 씨는 “길이가 긴 왼쪽 상판 때문에 주탑이 왼쪽으로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찾는 방법에 주목했다. 즉 미시중력렌즈 역할을 하는 별이 행성을 거느릴 경우 행성의
위치
에 따라 이 부근을 지나가는 별빛의 경로를 휘게 하는 정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면 행성의 크기와 질량을 추측할 수 있다(미시중력렌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과학동아 2007년 4월호 ‘한국의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