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퀴가 세 개인 자전거가 한 대 있다. 얼핏 보면 일반적인 삼륜 자전거 같지만 안장의
위치
가 낮고 특수 설계된 페달이 달려 있다. 바로 장애인을 위해 누워서 탈 수 있도록 개발된 자전거다. 또 초소형 잠수함 모양의 마이크로 로봇은 혈관 속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차세대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않은 것은? ① 판을 움직이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② 아이슬란드는 어떤 판 위에
위치
하고 있을까? ③ 아이슬란드의 지진 발생 빈도와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④ 확장되지 않는 판의 경계에서는 어떤 지질 현상이 일어날까? ⑤ 과학자들은 열점이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정확한 영상으로 나타내는 CT의 장점을 융합했다. 몸속에서 기관이 정확히 어디에 어떻게
위치
하는지 세밀하게 그려진 영상에서 질환이 있는 부분을 콕 짚어내는 셈이다.만약 흰쥐가 어떤 질환에 걸렸는지 진단하려면 먼저 마취를 시키고 꼬리의 정맥에 방사성 의약품을 주사한다. 이때 사용하는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다양한 음악을 자유자재로 연주할 수 있다. 바이올린이나 기타와 달리 손으로 줄을 잡는
위치
와 줄을 쥐는 세기에 따라 음을 변화시킬 수 있어 조바꿈을 하거나 반음을 내기도 쉽다.한갑수 씨는 “유현과 대현을 쥘 때 손을 아래로 내릴수록 높은음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긴 줄의 중간을 쥐면 ... ...
새로운 친구 구별법, 얼굴' DNA'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입의
위치
를 얼굴 골격과 합성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습니다. 델가도 박사는 “
위치
와 안면구조를 연결하는 데는 통계적 방법이 쓰였는데 95%의 정확도로 사람을 구별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이 기술은 조명에 따라 얼굴색이 바뀌거나 나이가 들어 얼굴이 주름지는 등 얼굴 정보가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간격을 구하는 두 지점으로 입사된 펄스파(입사파)에 커서를 올려놓고 마우스의 왼쪽
위치
를 주의해서 찾아야 한다. 지점간의 시간 간격이 ms(밀리초)의 단위로 나타나므로 1/1000을 곱해 sec(초)로 환산해 계산한다.⑥ 측정한 거리와 시간을 이용해 속력=이동거리시간의 방법으로 소리의 속력을 구하고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먼저 사람이 표정을 지을 때 이용하는 근육의
위치
를 27개의 점을 찍어 구분한다. 그리고 표정을 지을 때 점의 움직임을 읽으면 어떤 표정인지 알 수 있다.한국인의 표정이 다 모였다지난 2000년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표정 83개를 모은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4000여 년 전, 이집트의 미네프 쿠푸란 곳에서는 왕의 무덤비문에 왕의 권위를 전하기 위해 상형문자로 암호를 만들어 사용했어. 그 당시 이집트인들은 다른 사람들 ... 글자를 타원곡선에서 이동시켜 암호화하는데 타원곡선의 수식이 복잡해서 암호의
위치
를 알아도 해독하기가 쉽지 않다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전에 포탄을 발사해야 합니다.(중략)여섯 번째 질문 - 포탄이 발사될 때 달은 정확히 어느
위치
에 있어야 하는가?달은 하루에 13도 10분 35초*씩 나아가는데, 포탄이 발사될 때 달은 그 네 배인 52도 42분 20초만큼 천정에서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이것은 포탄이 날아가는 동안 달이 날아가는 거리입니다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보여. 이게 바로 양안시차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맺히는 상의
위치
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란다. 3D 입체 영상은 이러한 양안시차를 쉽게 일으키도록, 화면의 상을 일부러 두 겹으로 만든 거야. 우리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입체 사진을 만들어 보았어.❶ “스마일~!”멋진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