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뀐 화면을 눈치 채지 못하는 것처럼 7개의 자극을 받은 뒤에는 그 전에 받았던 자극의
위치
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사례 5. 자극 계속되면 촉각도 피곤해폭포를 한참 쳐다보다가 다른 물체를 쳐다보면 그 물체가 마치 거슬러 올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움직임에 반응하는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않은 것은? ① 판을 움직이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② 아이슬란드는 어떤 판 위에
위치
하고 있을까? ③ 아이슬란드의 지진 발생 빈도와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④ 확장되지 않는 판의 경계에서는 어떤 지질 현상이 일어날까? ⑤ 과학자들은 열점이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바람이 어디서 불어오는지를 알아야 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은
위치
나 지형, 계절에 따라 모두 다르고 시시각각 변해. 그래서 1개월 또는 1년 등 오랜 기간 동안 바람의 방향을 측정한 뒤 가장 많이 부는 방향을 하나 정해서 ‘주풍’이라고 부르지.바람길을 만들려면 건물을 ... ...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계 변신의 귀재, 선!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대문자 P로 쓴다. 영어로는 plane P라고 읽는다. 다각형과 다면체에 위에 있는 선분은
위치
에 따라 변, 모서리,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다양한 선분의 이름을 하나씩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도형의 선분을 뜻하는 변으로 불리고 다면체의 옆면으로도 불리는 영어단어는 무엇일까? 바로 side다.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항상 정확히 동쪽에서 뜨는 게 아니라 북쪽과 남쪽을 향해 조금씩 움직입니다. 해가 뜨는
위치
가 가장 남쪽으로 내려왔을 때를 기준으로 북쪽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남쪽으로 내려올 때까지의 날을 세면 일 년의 길이를 알 수 있습니다.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웠을때 생기는 그림자의 길이로도 일 년의 ... ...
새로운 친구 구별법, 얼굴' DNA'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입의
위치
를 얼굴 골격과 합성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습니다. 델가도 박사는 “
위치
와 안면구조를 연결하는 데는 통계적 방법이 쓰였는데 95%의 정확도로 사람을 구별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이 기술은 조명에 따라 얼굴색이 바뀌거나 나이가 들어 얼굴이 주름지는 등 얼굴 정보가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뿐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환경오염도 심해진다. 하지만 단등교는 주탑이 설치될
위치
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설계에 어려움이 많았다. 주탑 좌우 상판의 길이가 달라지면 주탑 좌우에 걸리는 인장력에도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최현석 씨는 “길이가 긴 왼쪽 상판 때문에 주탑이 왼쪽으로 ... ...
다기망양과 미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린 것과 같다. 이 그림으로부터 사실 소용돌이와 자동차의
위치
관계는 원과 자동차의
위치
관계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즉 각각 위상이 같음을 알 수 있다.미로 속의 자동차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복잡해 보이는 대상도 찬찬히 들여다보면 숨어 있는 패턴이 드러난다.‘다기망양’의 이야기와는 달리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먼저 사람이 표정을 지을 때 이용하는 근육의
위치
를 27개의 점을 찍어 구분한다. 그리고 표정을 지을 때 점의 움직임을 읽으면 어떤 표정인지 알 수 있다.한국인의 표정이 다 모였다지난 2000년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표정 83개를 모은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계획했던 지점보다 조류 특성은 조금 약하지만 진도대교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지금의
위치
로 옮겼다. 이런 우여곡절 때문에 2005년 4월에 시작한 공사가 지난 3월에나 마무리됐다.연간 1000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조류발전을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 박 연구원은 “현재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