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숙주로 삼을 붉은 도미를 선택한 뒤 입 안에 들러붙어 혀를 모두 먹어치운다.그 다음 혀
위치
에 자리를 잡고 혀처럼 붉은 도미가 먹는 먹이를 식도로 넘기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기생하면서 붉은 도미 입 안에서 떨어져 나오는 점액과 조직을 뜯어 먹는다. 놀랍게도 도미는 죽을 때까지 자기의 혀가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와!”이제 ‘내비 찍고’ 다니는 게 자연스런 일상이 됐다. 위성항법장치(GPS)로 차량의
위치
를 지도에 자동으로 표시해주는 내비게이션(차량항법장치)을 장착하지 않은 차를 보기 드물 정도다. ‘길치’나 ‘방향치’에겐 더 없이 좋은 세상이다. 한 번 찾아가도 길을 정확히 기억해내는 탁월한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뜻이다. 여기서 예상할 수 있듯이 위상수학은 기하학의 한 분야로 시작 됐으며, 공간의
위치
관계를 다루기 위해 만들어졌다.어려워 보이는 수학 용어도 기원을 살펴보면 머리에 쏙쏙 들어올 뿐만 아니라 우리가 배우는 수학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도 알 수 있다. 영어를 통해 수학의 뿌리를 찾아갈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칠정산내편은 중국식 역법을 우리나라에 맞게 고쳐 만든 역법이다. 해와 달의
위치
변화가 표로 담겨 있어 이를 이용해 해와 달이 언제 같은 자리에 오는지 계산했다. 칠정산내편에서는 원의 중심각을 1년의 길이인 365.2425°로 정했기 때문에, 해가 움직인 각도가 하루에 1°가 돼 계산하기 편리했다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구덩이가 파인 길 등 여러 가지 도로 상황을 가정하고 현가장치의 탄성, 차체와 연결하는
위치
를 바꿔가며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설계를 찾아야 한다.하지만 실제 자동차의 부품을 써 도로를 바꿔가며 수백 번도 넘는 실험을 반복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 번 실험할 때마다 자동차의 부품을 ... ...
첨단 연구장비 활용과 개발 지원하는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활동을 담기가 어려웠지만, 뇌자도는 초당 1000~1만 번 정도 영상을 얻어 뇌파가 생기는
위치
뿐 아니라 뇌파가 어떤 순서로 뇌의 각 영역을 지나가는지도 알 수 있다.그래서 간질처럼 뇌파가 비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는 질환을 진단하고 정확히 뇌의 어느 부위에 문제가 있는지를 찾아낼 수 있다.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유명하다. 이곳은 온난한 기후라서 양질의 밀이 생산되고 세토내해 연안의 시코쿠 섬에
위치
해 질 좋은 소금이 난다. 맛의 핵심은 물과 소금, 밀가루의 배합. 보통 밀가루 100에 소금물 50을 넣는다. 이때 온도와 습도에 따라 소금물의 농도를 조절하는 일이 중요하다.사누끼에서는 소금이 1일 때 물을 ... ...
생활 곳곳에 자리잡은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위치
를 x로 삼아 현재
위치
를 파악하고 있어. 위성을 통해 주변 도로 정보와 해운대의
위치
정보도 전달받지. 내비게이션은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식을 만들어 해운대까지 가는 가장 빠른 길과 남은 시간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 그 결과를 화면 속의 도로에 표시하면 운전자는 해운대까지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아무리 큰 수라도 알기 쉽고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이런 ‘자릿값 기수법’또는 ‘
위치
기수법’은 인도에서 서기 800년경에 완성돼, 아랍을 거쳐 유럽으로 그리고 전 세계로 보급됐다. 그래서 이것을 인도·아라비아 수 체계라고 한다.지금처럼 인도·아라비아 수 체계로 수를 간편하게 나타내거나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않으려는 인간의 노력은 눈물겹다. 최근 미국에서는 날갯짓 소리를 감지해 모기의
위치
를 파악하고 레이저 빔을 쏴 하룻밤 동안 모기를 10억 마리까지 죽일 수 있는 레이저 총을 개발 중이다. 사람이 모기를 멸종시킬 수 있을까. 모기는 약 1억 7000만 년 전 쥐라기 때 처음 나타나 지금까지 지구에 살고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