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대한민국 다산과학기지다. 북위 78도 노르웨이령 스발바드 군도 니알슨의 과학기지촌에
위치
해 있으며 프랑스와 건물의 절반씩 공유해 사용하고 있다. 사람이 사는 최북단지역이다. 예전에 탄광촌으로 쓰여서 주변에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우리 기지에는 연구 목적에 따라 연구원이 수시로 ... ...
제3세대 컴퓨터입력장치 '펜앤마우스 블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방식은 진동수 대역을 나눠 고유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혼선될 염려가 없고, 수신기의
위치
나 신호를 수신하는 각도에 상관없이 수신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펜앤마우스 블루는 키보드와 마우스에 이은 제3세대 컴퓨터입력장치인 셈이다. 편집자주 ‘펜앤마우스 블루’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 ...
선비의 풍류 살리는 장중한 소리 거문고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거문고 몸체에 붙어 있지 않고 자유자재로 움직인다. 악기를 움직일 때마다 안족의
위치
가 변해 음높이가 달라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거문고를 연주하기 전에 편경이나 대금 같은 악기의 도움을 받아 조율해야 한다.거문고는 현재 관현 합주곡에 반드시 편성되며 독주악기로도 널리 쓰인다. ... ...
한국인 키 유전자, 비만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같고 300만 개가 다르다. 너와 내가 다른 건 0.1%의 차이에서 비롯된 셈이다.SNP는 생기는
위치
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유전자에 영향을 미친다. 유전자 조절 부위에 있는 SNP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고 인트론 에 있는 SNP는 mRNA 성숙과정에 영향을 준다. 그 결과 만들어지는 단백질 양이 ... ...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우주쓰레기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리면 찾을 수 없단다. 레이저인공위성의 궤도와
위치
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쓰는 레이저는 레이더나 망원경보다 정밀해서 더 작은 우주 쓰레기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 그러나 굉장히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우주쓰레기를 찾는 데 ... ...
‘신의 눈’에서 ‘우주 물음표’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드러나 위성들이 토성을 가리는 현상이 잇달아 펼쳐지는 것. 토성 고리는 보통 비스듬히
위치
하다가 15년마다 옆면을 보여준다. 오는 8월 10일~9월 4일에 토성은 고리 옆면을 드러낸다. 하지만 이때 토성이 태양에 너무 가까워 토성 고리를 보기는 힘들 전망. 이런 아쉬움을 달래려는 듯 ... ...
한국과학영재학교, 서울과학고, 경기과학고 2010학년도 입시유형 전격비교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물리영역의 과제수행능력 평가에서는 물을 이용한 시소문제가 출제됐다. 사이펀 현상과
위치
에너지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이와 관련해 유사 영구기관을 설계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였다. 이런 문제에서는 얼마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안하는지가 중요하다. 심층면접에서는 역학과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모터 터미네이터나 헌터 킬러는 오토바이나 수직이착륙기에 무인운전 기술, 고속정밀
위치
추적 기술, 자율주행 기술 등을 덧입히면 가능할 것”이라며 “하베스터는 포클레인에 쓰는 유압 관절을 적절히 사용하고, 큰 덩치를 지탱하며 움직이기 위한 동작제어 기술을 적용하면 실현할 수 있을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양력이 작용하는 지점인 ‘공력중심’을 무게중심보다 뒤쪽에
위치
시켰다.또한 앞 범퍼
위치
에 작은 수평날개인 커나드(canard)를 달아서 평형을 잡기 쉽도록 설계했다. 비행기의 날개와 공기가 만나는 각도인 ‘받음각’이 지나치게 높을 때 날개에 양력이 갑자기 감소하는 스톨( stall ) 현상이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ATC) 방식을 사용한다. 한 궤도 안에 두 대의 열차가 진입하면 두 열차 사이의
위치
를 파악해 적절한 운행속도를 알려 준다. ATS는 작동하지 않아도 열차가 운행할 수 있지만 지하철 3~8호선의 ATC는 작동하지 않으면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다. 역간 거리가 평균 1.5km밖에 되지 않는 지하철 선로에서 ATC는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