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돛을 더 튼튼한 소재로 크게 만들거나 더 높은 효율로 에너지를 전환하는 기술 등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도 지구에서 약 4.2광년 떨어져 있다”며 “심우주 탐사를 위해서는 먼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모든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제주도에서 가볼만한 곳이라고 하면 흔히 한라산 백록담, 천지연폭포, 해수욕장 같은 곳들을 떠올린다. 하지만 1990년대 우리가 조금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어쩌면 ...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논문이 공개되더라도 실제로 읽고 정확하게 검증하려면 한참 걸립니다. 복잡한 논리 전개 과정 중에 한 군데라도 수학적 오류가 있는지 꼼꼼하게 검증하려면 시간이 꽤 걸리니까요. 이 논문은 민감도 추측을 바로 증명하지 않습니다. 황 교수는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증명합니다. 그전까지 ...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 있지요. 최근 과학자들은 크기와 전력 소모를 줄여 몸속에 이식할 수 있는 인공와우를 개발 중이랍니다. 무선 이어폰을 둘러싼 건강 논란지난 3월, 한 뉴스 기사가 SNS를 통해 전세계로 빠르게 확산됐어요. 최근 ‘이엠에프사이언티스트(EMFscientiest)’라는 비영리단체가 전세계 42개 나라, 247명의 ... ...
- [과학뉴스]입자 로봇 10만 대, 뭉쳐야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움직이는 모습이 꼭 세포가 움직이는 모습과 닮았지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10만 개의 로봇은 액체처럼 움직이기도 한답니다. 연구팀은 이 로봇에 ‘입자 로봇’이라고 이름 붙였지요. 입자 로봇은 서로 약한 자석을 사이에 두고 붙어 있어요. 움직일 때는 지름이 15~23cm에서 커졌다 작아졌다 ...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짧으면 그 해는 추운 것이고, 길면 따뜻한 겁니다. 그런데 조선 때 남긴 서리 기록 700개를 조사하자 서리가 급격히 줄어든 시기도 240년 주기성을 보였습니다. 태양의 흑점 활동이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난 겁니다. 태양 흑점의 수가 늘어날 때 지구 기온이 낮아지는 거라면 언제 또 ... ...
- 학구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결과를 임의로 작성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죠. 저는 이 과정에서 확률이 중요한 개념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로 ‘과학의 대상은 확률로 묘사해야 한다’라는 확률론을 제시했습니다. 그 덕분에 저를 현대 수리통계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꼽지요 ... ...
- [교육뉴스] 수학에서 실수? 배경지식의 함정에 빠져서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했습니다. 사라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가 집합 형태의 그룹으로 묶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와 고양이가 나왔다는 점 때문에 자연스럽게 뺄셈 문제가 아닌 집합을 다루는 문제로 생각한 겁니다.스머프 문제와 같은 유형은 일반인 집단이 82%, 수학자 집단의 95%가 맞혔는데, 사라 문제와 같은 유형은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거품 정렬 알고리듬’을 소개할게요. 거품 정렬은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두 개씩 숫자를 비교해서 교환하는 알고리듬인데, 위아래로 나열한 데이터를 정렬할 때 작은 수가 마치 거품처럼 위로 올라온다고 해서 거품 정렬이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원래 교환해서 정렬하는 방법은 훨씬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망 지도 각각 완성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널리 쓰인다. 암컷(스스로 생식하거나 수컷과도 교미하는 자웅동체)은 302개, 수컷은 385개의 뉴런을 갖고 있어 인간 뇌의 수억 분의 1 수준으로 단순하다.커넥톰은 생명체 속 신경망의 연결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신경망 지도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의 신경전달물질을 형광 표지해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