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조금 복잡한 편이다. 임페리얼칼리지 화학과 내에는 학부 3년제를 기본으로 총 14개의 교육 과정이 있다. 이 중 다른 대학에서 교환학생으로 1년을 보낼 수 있는 과정은 석사 통합 4년제 과정 중에서도 딱 하나뿐이다. 그래서 교환학생을 가고 싶다면 교육 과정 자체를 바꿔야 하고, 혹시라도 1년을 ... ...
- 빅데이터, 시험, 감옥… 세상에서 하나 뿐인 주기율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주최하고 과학동아가 주관한 이번 대회에는 중등부와 고등부를 통틀어 개인과 팀에서 총 130개 작품이 출품돼 경합을 벌였다.심사는 5월 17일 서울 용산구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진행됐다. 성봉준 서강대 화학과 교수, 차상원 한국외대 화학과 교수, 윤효재 고려대 화학과 교수, 송재규 경희대 화학과 ... ...
- [과학뉴스]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 지난 3월 2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보니 버래티 박사팀은 토성의 위성이 서로 다른 모양과 색깔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지 ... NASA는 ‘그랜드 피날레’라고도 알려진 카시니호의 마지막 탐사 결과를 4월 중 또 공개할 예정이랍니다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모래알이 몇 개 모여야 더미일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그것을 모두 없앨 수 없어요. ‘모래알’도 사실 모호한 낱말이에요. 규산염 분자가 몇 개 모여야 모래알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과학에서 모호한 낱말을 모두 없앨 수 없다면 우리는 모호한 낱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오늘의 생각실험은 여러분께 이런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면 좋을지 ... ...
- [수학뉴스] 한국 대표팀, IMO 3위! 참가자 6명 모두 금메달 획득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히는 6번 문제도 4명이 만점을 받았습니다. 6명의 대표 전원이 개인 순위 20위 안에 든 것 역시 IMO 역대 최초의 기록입니다.한국 대표팀의 부단장인 최수영 교수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미국 대표팀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 채점 과정에서 부분 점수를 1점이라도 더 얻기 위한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잎사귀가 나오기까지 5번의 피보나치 수의 나선을 갖고, ❶번과 ❾번 사이의 잎사귀 개수도 8장으로 피보나치 수다. 식물의 생장 비밀을 파헤쳐라!이 정도면 식물들이 그야말로 피보나치 수열을 바탕으로 자라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죠? 그러면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식물 생장의 ... ...
- [본격 게임 채널]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데미지 계산하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8월 23일까지 서울 넥슨 아레나에서 던전앤파이터 e스포츠 리그인 ‘DPL 2019 서머’를 개최합니다. 던전앤파이터의 매력에 푹 빠졌다면 방송으로 대회를 보거나 직접 관람해 고수들의 화려한 플레이를 느껴보세요. 던전앤파이터 리그는 매년 열립니다. 열심히 연습해서 실력을 쌓았다면 예선전에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갖고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드래건플라이는 8개의 회전 날개를 갖춘 드론 형태의 탐사 로봇으로 타이탄 표면에 착륙해 날씨, 지형, 화학 조성 등을 탐사하며 생명체의 흔적이 있는지 조사한다. 드래건플라이는 2026년 지구를 출발한 뒤 2034년 타이탄에 도착해 2년 이상 ... ...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끊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후 3~4년 뒤 영구치가 자랐으며, 음식의 부족으로 6개월마다 주기적으로 식습관의 변화를 겪었다. 이 기간에 이들은 다시 모유 수유로 돌아가거나 다른 식재료를 찾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논문의 공동 1저자인 크리스틴 오스틴 마운트 사이나이 아이칸 의대 ... ...
- [과학뉴스]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해상도가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 그쳐 이보다 작은 개별 원자를 또렷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은 “해상도를 기존 대비 100배 이상 끌어올렸다”며 “앞으로 단백질 등 복잡한 구조의 분자에서 ... ...
이전3123133143153163173183193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