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인류의 기원을 둘러싸고
분자
생물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이 뜨거운 논쟁을 벌이고 있다. 인류의 조상은 지금부터 약20만년전 아프리카 사하라부근 ... '이브'는 동시대인으로 판명될 것인가? 만일 두사람의 생일이 크게 다르다면 이제까지의
분자
생물학자들의 기세는 크게 누그러질지 모른다 ... ...
미리 살아보는 21세기 초 109세까지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분자
로부터 뛰쳐나와 세포질속에서 비틀거리며 돌아다닌다(유리기). 이 유리기들은 다른
분자
의 저자를 강탈하거나 훔친다. 이런 행위로 인해 DNA, 세포막, 단백질이 손상되고 따라서 세포의 기능이 떨어진다. 즉 세포가 늙으면 유리기로 가득차 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산화방지제는 이 해악한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결합되는 부분에는 항원-항체반응과 같은 메카니즘이 존재하고 있을지 모른다. 뇌는
분자
생물학적으로는 거의 손을 대지 못한 분야이다. ●―과학은 예술이다 도네가와는 과학이라는 것은 창조적인 활동이라는 면에서 예술과 매우 닮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는 과학자는 보통의 샐러리맨과는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메카니즘은 과학동아 86년 9월호 참조). 연구에 따르면 염소 원자 하나가 10만개의 오존
분자
를 파괴한다는 것. 오존층 파괴에 대한 우려는 이미 1971년에 시작되었다. 당시 성층권을 비행하는 초음속여객기 개발계획이,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수증기가 오존층을 파괴할지 모른다는 주장 때문에 ... ...
가솔린 바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그러나 트리톤은 대체로 우주와 같이 우주선(宇宙線)을 쏘이고 있고 수십억년에 걸쳐
분자
들을 구성해 왔음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트리톤에도 역시 가솔린 바다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있다해도 두 바다는 이용하기가 그리 적당하지 않다. 타이탄은 지구에서 8억8천6백만 마일 떨어져 있고,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원자간의 거리가 대개 수천만분의 1cm인데 비해 생체의 근육구조나 액체 결정을 이루는
분자
들, 폴리머(polymer) 등은 대개 수백만분의 1cm로서 그들의 구조는 변화주기가 고체의 그것보다 5배 내지 10배 정도 길기 때문에 소위 미세각 X-선 산란(Small Angle X-ray Scattering)에 의하여 연구한다. 이 경우의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의해 분석되었다. 그 분석결과는 중대한 발견을 가져왔다. 운석속에 존재하는
분자
에는 여러종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 아미노산 중의 6개, 발린(Valine) 알라닌(Alanine) 글리신(Glycine) 프롤린(Proline) 아스파라긴산(Asparagine) 그리고 글루타민산(Glutamine)은 지구상의 생물이 가진 ... ...
극지(極地)의 장관 오로라 AURORA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여기(勵起 · excitation · 원자력학적 개념으로 하나의 물질계, 예를 들면 원자
분자
등의 계가 에너지가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다른 것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다 높은 에너지 상태로 옮아가는 것)하여 오로라의 빛을 발광시키는 에너지원은 극관 글로오로라에서는 태양 플레어를 따라 방출되는 ... ...
해발 4천2백m 화와이 마우나 케어 망원경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조작이 된다. 감수성은 대단히 예민해 달위의 돌멩이까지도 볼수있고 우주공간의
분자
구조까지 밝혀낼 수 있다고. 망원경의 핵심부분은 직경 15m의 '접시'부분으로 이것은 50미크론의 표면정밀도를 갖추기위해 2백76개의 알루미늄판으로 만들어졌다 ... ...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생명공학을 다루는 학과로는 △ 미생물학과 △ 식물학과 △ 동물학과 △생화학과 △
분자
생물학과 △ 유전자공학과 등을 들 수 있다. 학문의 발전단계로 볼때는 미생물에서 동·식물로, 그리고 마지막에는 인체 특히 뇌를 연구하는 신경생물학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불과 10여년의 연륜을 갖고 있는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