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문4페이지가 머리카락 단면에 수용?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되므로 홀 버닝이라 이름을 붙였다. 이 실험의 광 메모리에는 특수 고
분자
속에 색소
분자
를 섞은 시료를 썼다. 마치 우무에 팥알을 섞은 것같은 모양이다. 이것을 액체 헬륨으로 냉각시켜 색소레이저의 파장을 바꾸면서 쪼여 스포트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그 결과 10나노미터(10 X ${10}^{-9}$m)라는 짧은 ... ...
초전도 현상이 실온에서 가능할까? 뜨거운 온도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AT&T)의 벨연구소가 40도에서 성공했다. 87년1월에는 일본국립공동연구기구
분자
과학팀이 43도에서, 전자기술종합연구소는 54도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켰다. 미국에서 지난 2월16일 국립과학재단(NSF)의 중국계 물리학자인 미국 ‘홉스턴’대학 ‘CW추’교수와 ‘알라바마’대 ‘MK 우’교수팀이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이 분야는 1930년부터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분자
생물학중
분자
유전학이 1970년대 말기부터 연구되어 DNA복제, 유전정보, 그에 기초를 둔 단백질 합성과 그의 조절의 기초가 밝혀졌다. 이로써 유전자 조작이 가능하게 되었는데, 이 기술을 바이오테크놀로지(Biotechnology)라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케쿨레'(S.F.A. Kekule)란 화학자는 뱀이 서로 꼬리를 물고 고리가 되어 있는 꿈에서 벤젠의
분자
구조를 생각해냈다.REM수면중의 꿈에 나타난 지식은 터무니 없는 순서로 등장한다. 그러나 그 엉뚱함을 이용하는 것은 그 사람의 지적능력에 달려 있다. 케쿨레가 본 2마리 뱀꿈도 보통사람에게는 단지 ... ...
과학자·기술자를 지망하는 청소년에게 주는 글 과학공부하는 마음가짐에 대해서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 이론에 비추어 보면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기체의
분자
운동 이론은 모든 종류의 기체를 여러가지 상황과 조건에서 실험했을 때 그 성질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매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주었다.□ 이론의 수정이론이 완전무결한 것이라고 할 수 만은 없다. 때로는 ... ...
미국 수소폭탄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와 함께 방사선연구를 했다. 그가 이 연구에서 이론화한 중요한 결과의 하나는 어떤
분자
의 안전성의 결여를 설명하는 고체물리학의 하나의 형상인 '잔-텔러 효과'이다. '유진 위그너'는 그의 과학자로서의 기량을 높이 평가하면서 "그는 내가 만난 사람중에서 가장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치켜 ... ...
인체 유전자가 모두 판독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구성돼 있다. 원리는 분해반응에 의해 DNA를 자른 뒤 전기영동(電氣泳動)을 하여 DNA
분자
의 배열을 읽는 것. 한번에 16개의 시료를 취급할 수 있고 '길버트'법의 반응30단계를 10시간 정도에 마치는 속도를 자랑한다. 앞으로 전기영동과 읽는 단계의 자동화가 달성된다면 속도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한 ... ...
화학 기본 개념과 원리를 철저히 이해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그러면 소금 즉 염화나트륨(NaCl)을 구성하는 입자는 어떤 것일까? 소금 알갱이는 원자
분자
이온 중 어느 입자들의 집합체일까? 소금은 인체에 이로운 물질일까? 해로운 물질일까? 소금이 인체에 이로운 물질이라면 소금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들도 인체에 이로운 것일까?실험이 중요 이런 ... ...
생물 암기에 앞서 체계적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생물 공부에 흥미를 붙일 수가 없고 또한 좋은 성적을 기대할수도 없다. 더우기 최근에는
분자
생물학 유전 공학 등 생명 현상에 대한 새로운 내용들이 중요시되므로 암기만으로는 생물학에 흥미를 느낄 수 없음은 명백하다. 그러면 생물 공부를 쉽고 재미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를 생각해 ... ...
알버트 센트-죠르지 생명현상의 가장 광범한 연구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그래서 "세균보다 더 간단한 것은 없을까?" 하는 궁리를 하기 시작했다. 그는 바로
분자
라는 생각에 미치게 되어 화학자로 전환한다. 단순한 것을 찾는 센트-죠르지의 집념은 마침내 전자와 양자역학 분야까지 관심을 돌리게 된다.이렇게 다양한 학문적인 섭력을 하는 가운데 그는 노벨의학상(1937)의 ... ...
이전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