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동반성을 발견하고 ‘강아지’(Pup)로 이름지었다. ‘강아지별’은 시리우스와 비슷한
표면
온도를 가진 별임에도 10등급이나 더 어두워 시리우스 밝기의 1만분의 1에 불과하다. 크기는 천왕성이나 해왕성과 비슷한 작은 별로 추측된다. 그렇지만 질량은 태양과 비슷해서 이 별을 이루는 물질의 비중이 ... ...
목성위성 칼리스토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자기장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키벨슨 박사는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칼리스토
표면
바로 아래 얼음이 녹은 액체층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만약 이 액체가 지구의 해양과 같이 염분을 포함한다면 자기장을 생성시킬 충분한 전류를 운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칼리스토의 해양을 관측한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생물의 염색체를 파괴하는 무서운 소립자들이다. 대부분은 지구대기 때문에 지
표면
까 지 도달하지 못하지만, 우주선을 타고 지구밖으로 나가면 크게 인간을 위협한다. 우주왕복선 내의 승무원들은 지상에 있는 사람보다 20배나 많은 방사선을 쏘인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X선 촬영 한번에 해당하는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검토의 대상이 돼 왔다. 우주정거장은 무엇 보다 양로원으로 더없이 좋은 곳이다. 지구
표면
보다 중력이 작기 때문에 거동에 필요한 근력 소 모가 훨씬 적으며, 공기를 비롯한 모든 환경이 엄격하게 통제되므로 호흡이나 식사와 같은 모든 조건이 오염물질로부터 거의 완벽하게 차단된다. 아마 21세기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맥동 변관성 이외에 '신성' (Nova)도 있다. 신성은 별의 일생 중 마지막 단계에서 별의
표면
전체가 폭발해 밝게 빛나는 별인데, 자신의 원래 밝기보다 수만배나 밝아진다. 별 전체가 폭발하면서 장렬한 최후를 맞이하는 별도 있는데, 이러한 별을 특히 '초신성' (Supernova)이라고 한다. 신성이나 초신성의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스며들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팬에 테플론 코팅을 할까. 방법은 팬의
표면
을 아주 거칠게 해서 테플론을 달라 붙게 만드는 것이다. 코팅 프라이팬을 선전하는 많은 프라이팬 제조업체의 경쟁력은 코팅재료의 차이가 아니라 코팅을 팬에 잘 붙게 하는 기술에 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열이 발생한다. 공급된 수소는 다공성의 전극(음극)을 통과한다. 그러면 이 수소는 음극
표면
에서 이온화되면서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수소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각각 반대편 전극(양극)으로 움직여 산소와 결합하면서 물을 생성시키고 동시에 전기를 ... ...
2. 불로불사의 꿈, 영생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여전히 1백-1백20년 정도가 한계 생명이다. 왜 그럴까.지구에 있는 생물은 지구
표면
에 있는 수많은 원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탄소는 생체구성물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원소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탄소 재질의 사용 기간이 대략 1백년 ... ...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최단 거리를 그으면 호를 이룬다. 여기서 종이는 유클리드 공간에 해당하고, 지구의
표면
은 유클리드 공간이 아닌 새로운 공간이다. 따라서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은 태양이 만들어놓은 휘어진 공간상에서 관성운동을 한다고 본다.상대성이론이 등장하면서 만유인력은 공간의 ... ...
1. 21세기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통틀어 일정한 것일까.우선 전지의 전압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알아보자. 전지를 사서
표면
을 보면 1.5V라고 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지를 구성하는 두 전극은 전해액에서 반응함으로써 생기는 고유의 전위차를 가진다. 이 때 두 전극의 전위차를 합한 것이 전지 고유의 전위차가 된다.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