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소호위성이 밝혀낸 태양의 새모습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자기장 카펫'(Magnetic Carpet)이라 부르고 있다.소호에 장착된 MDI를 이용해 태양
표면
의 자기장을 관측한 과학자들은 아주 조그만 자기장 고 리들이 태양면에 무수히 존재하며, 이러한 자기장의 고리는 작게는 수천km부터 크게는 수만km 높이까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런 자기장 고리들이 ... ...
번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차를 세우고 차 안에 그대로 있는 것이 안전하다. 차에 번개가 치면 전류는 도체인 차
표면
을 따라 흘러 타이어를 통해 지면에 접지된다.5. 일반적으로 높은 건물에 있을 때 번개가 치기 전에 머리카락이 곤두서고 피부가 찌릿찌릿할 때는 벼락이 떨어질 징조이므로 재빨리 바닥에 엎드리도록 한다.6.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서로 충돌할 수도 있다. 외계 생명체 문제는 아직한편 처녀자리 70에서 발견된 행성의
표면
온도는 약 85℃로 추정되는데, 이는 물과 유기분자들이 충분히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만 갖고 생명체의 존재여부를 따지기는 힘들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행성 자체에 대한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우리가 잠들어 있는 시간에도 별들은 쉼 없이 빛을 발하며 아름다운 밤의 세계를 펼쳐 보인다. 조물주가 빚어낸 광활한 우주, 그 우주를 ... 익숙해졌으면 밤하늘로 망원경을 돌려보도록 하자. 가장 쉬운 관찰 대상인 달을 맞추어
표면
의 크레이터나 바다 등이 어떻게 보이는지 관찰해 본다 ... ...
① 수명 1백억년의 거대한 핵융합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3개의 대기층으로 나누고 있다.광구는 눈으로 태양을 볼 때 둥글게 보이는 태양의
표면
층을 말하며, 그 두께는 5백km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광구 하부 온도는 약 8천도 정도지만,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돼 결국 광구의 상 단에서는 4천5백도에 이른다. 망원경을 통해 광구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 ... ...
SF 대가 5명의 야심작 '딥 임팩트'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혜성 내부에 높은 압력의 기체가 가득 차있고 지반이 단단하지 않은 탓에 햇빛이 비치면
표면
이 갈라져 내부 가스가 튀어나오는 과정을 생생하게 표현했다.영화의 또다른 압권은 혜성이 충돌했을 때 지구에서 벌어질 일들을 과학적으로 예측한 점. 혜성이 충돌하는 순간을 표현하기 위해 ... ...
침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있듯이 이전에는 은·청동·철 등의 금속
표면
을 갈아 광을 낸 것이었으나, 현재의 거울은
표면
이 편평한 유리판 뒷면에 알루미늄을 얇게 입히고 그 위에 붉은 칠을 하여 알루미늄을 보호하는 막을 입힌 것이 사용된다. 금속의 광택성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원리라 할 수 있다.금속이 특유의 ... ...
2. 앤지오스태틴과 에도스태틴의 미래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변형되고 있는지 아무도 알 수 없다.유선동 교수(성균관대 약대)는 "예를 들어 암세포의
표면
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변화가 올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항암제는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암세포를 파괴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생쥐의 몸 속에서 자란 탓에 어떤 변화에 의해 애초의 항암제와의 결합 정도가 ... ...
주방속의 과학실험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되는
표면
장력을 느낄 수 있는 현상이다. 자연에서 소금쟁이처럼 가벼운 곤충들이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물위를 걸어다닐 수 있다는 사실도 기억해둘 만하다.신과람박사의 실험파일1. 학교에서는 황가루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노란색의 황가루가 눈에 잘 보이기 때문이다. 황가루의 밀도는 물의 2. ... ...
5. 솔리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염분 농도나 수온이 균일하지 않아서 바닷물의 밀도가 고르지 않기 때문이다. 바닷물
표면
가까이에는 염분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담수가 많다. 북극이나 남극에서는 빙산의 얼음이 녹아서 염분 농도가 흐려진다.또 바다 수면은 태양볕으로 인해 수온이 높지만 바다 속은 그렇지 못하다. 수온이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