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운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것이 그물코처럼 많이 연결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만일 이렇게 많은 운하가 화성
표면
에 있다면, 화성인은 그야말로 지구인보다 훨씬 발전한 고도의 문명을 갖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로웰의 관측 결과가 발표되자 세상 사람들은 화성인의 존재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 무렵 영국의 한 ... ...
무중력 어디가 위 어디가 아래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물방울을 볼 수 있다.
표면
장력은 지구 중력에 비해 미약한 힘이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표면
장력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우유를 엎지르면 낮은 곳으로 흘러내린다. 그러나 무중력 상태에서 우유를 엎지르면 흘러내리지 않고 방 한가운데에 구를 만든다.④무중력 상태에서는 무게가 작용하지 않기 ... ...
인간 신체능력의 한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에베레스트 정상까지, 지구
표면
에서 우주 공간까지, 세상 어디에도 인간이 닿지 못할 공간까지, 세상 어디에도 인간이 닿지 못할 곳은 없다. 과거에 끝이라고 생각되던 영역이 시작이 되고 지금 시작에 불과한 것이 먼 과거가 되듯이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날마다 깨뜨리고 있다. 끊임없이 넓혀지고 ... ...
4. 수중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지구의 크기를 농구공 정도로 축소시켰을 때 바다는 젖은 수건으로
표면
을 닦은 후에
표면
에 남은 물기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더구나 바다의 81%는 수심이 1천8백m미터보다 얕은데도 불구하고, 인간이 어느 정도 자유로이 들락거릴 수 있는 바다의 깊이는 겨우 수심 90m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수중에 ... ...
3. 고공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착각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비행 중 조종사가 양성가속도 1G를 받고 있으면 지구
표면
의 위치와 상관없이 그는 항상 바른 자세로 앉아 있다고 느낀다. 큰 원형궤적을 그리며 양성가속도 1G로 비행하는 조종사는 비행기가 뒤집어진 상태에서도 바른 자세에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때문에 고속 ... ...
다이어트 거울로 날씬한 몸매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오목거울의 초점에전구가 설치돼 있다. 초점에 설치된 전구에서 나간 빛은 오목거울
표면
에서 모두 평행하게 진행된다. 오목거울에서 반사돼 평행하게 진행한 빛은 먼 곳까지 비춰주므로 야간운전할 때 시야를 확보해준다(그림3) ... ...
엘니뇨가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후의 변동을 규명하기 위해 대기와 해양, 그리고 지
표면
의 변화를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전체적인 하나의 기후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있다.엘니뇨에 대한 연구 역시 마찬가지다. 즉 대기와 해양이 결합된 기후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엘니뇨 현상의 본질을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그렇다면 과연 어떤 과정을 거쳐서 항아리가 대량으로 만들어진 것일까.돌항아리의 안팎
표면
을 자세히 조사한 결과, 항아리를 회전시키며 가공한 것이 틀림없음을 증명해주는 미세한 동심원 모양의 가공 흔적이 발견됐다. 항아리 제작에 선반이 사용됐음을 알려주는 증거다. 이는 우리 인류의 ... ...
화성 생명체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자아 정체성을 결정한다는 심오한 주제를 담고 있다. 이 영화에서 그려지고 있는 화성
표면
은 바이킹이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정교하게 묘사돼 있다.그러나 화성에 식민지를 건설하는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 지금까지 화성 탐사가 24차례나 시도됐지만, 아직 화성 땅을 밟아본 사람이 ... ...
돌고래 수영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주름이 만들어져 소용돌이를 줄여준다.돌고래가 빠른 또 하나의 이유는 돌고래의 피부
표면
에는 당단백이라는 물질이 있기 때문이다. 당단백은 생물체 조직에 사용되는 다당과 단백질이 결합한 물질로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강하다. 그래서 돌고래 피부에 닿는 물분자들을 단단히 잡아당겨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