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난 뒤 부작용을 더 신경 쓰는 부작위 편향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일단 백신이 안전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뒤에는 그 생각을 바꾸기가 무척 어렵다. 자기 믿음과일치하는 정보는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무시하는 ‘확증 편향’이나 자신이 믿고 있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정보만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실린더 안에서는 위·아래로 운동하는 피스톤과 크랭크축이 맞물려 움직인다.실린더 안에 들어온 연료가 폭발해 피스톤이 위·아래로 움직이면 크랭크축이 회전한다. 자동차 운전석에서 볼 수 있는 엔진 회전계에는 숫자 1, 2, 3…이 쓰여 있는데, 바늘이 가리킨 숫자에 1000을 곱하면 크랭크축이 1분에 ... ...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따개비의 덮개 위쪽에서 누른 뒤, 점액을 분비해 따개비의 덮개를 녹여요. 그리곤 안으로 파고 들어가 따개비를 잡아먹고 빈집으로 만들어 버리죠. 또 동물과 식물끼리도 경쟁이 심한데, 경쟁자를 덮어서 질식시키거나 태양광을 받지 못하게도 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갯바위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조금 더 많은 유전자를 물려받습니다. 난자는 정자보다 5배 이상 크기가 큽니다. 그 안에는 핵과 각종 영양분이 있는 세포질,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있죠. 즉, 2세의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는 엄마의 것과 똑같습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엄마에게서, 엄마는 외할머니, 외할머니는 다시 ... ...
- [과학뉴스] 꼬불꼬불한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내 발전소’라고 불리는 미토콘드리아는 두 개의 막으로 이뤄져 있다. 그 중 내막은 안으로 움푹 들어간 특이한 구조(크리스테)를 갖고 있는데, 이 구조는 미토콘드리아가 제대로 기능하는 데 중요하다. 최근 독일 헬름홀츠협회 막스델부르크 분자의학센터 올리버 다움케 박사팀이 이 구조를 만드는 ... ...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제외한 나머지 까마귀들은 배신자와의 거래를 거부했다. 연구팀은 “까마귀들이 사회 안에서 어떻게 관계를 맺고 행동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물 행동’ 6월호에 게재됐다. doi:10.1016/j.anbehav.2017.04.00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납 농도가 이보다 낮아도 어린이의 지적 능력에 해를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즉, 납 노출의 안전한 수준은 현재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혈중 납 농도가 이처럼 높은 건 토식증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토식증에 대한 아무런 가이드라인이 없다. 향후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원리를 규명하는 연구도 함께 진행해 왔다. 황 교수가 안내한 분석실(왼쪽 페이지 아래 사진)에는 주사전자현미경(SEM)과 X선회절분석기(XRD),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 등 이공계 실험실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분석장비들이 가득했다.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유약 ...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렇다고 유통기한이 지났으면 무조건 버리라는 뜻은 아닙니다. 유통기한(Sell by date)은 안전계수를 적용해 실제 먹을 수 있는 소비기한(Use by date)보다 짧게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2년에 소비기한 표시를 시범적으로 시행한 적이 있는데 과자류, 면류, 즉석조리식품 등의 소비기한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계층의 가장 꼭대기에서 다른 유전자들을 호령하는 핵심 조절자도, 개체라는 큰 시스템 안에서는 역할에 제한을 받는 하나의 유전자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유전자 계층의 가장 꼭대기에 있는 이 핵심 조절자를 조절하는 ‘진짜’ 우두머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다음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