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비글호로 해양 현상을 연구하는 일을 NASA에 제안했다. 혹시 좋은 연구 아이디어가 있는 과
학자
는 우리에게 알려 달라. 공동연구를 할 수도 있다.특히 젊은 친구들이 지구온난화나 기후변화 같은 최근의 환경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4. 비글호에 한 명만 태울 수 있다면 누구를 택하겠는가 ... ...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번역판의 제목으로 택했다. 영국 BBC방송의 과학 프로그램 제작자인 팀 헤인즈와 고생물
학자
폴 체임버스 박사의 공저다. 5억 4300만년 전 캄브리아기에서 1만년 전 플라이스토세까지 살았던 동물 112종의 화석과 상상도, 생태를 깊이 있게 다뤘다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시사했다. 수년 간 냉동고에 처박혀 있던 시료를 잊지 않고 다시 조사한 몇몇 과
학자
들의 시도가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도 있는 연구결과로 이어지고 있다.놀라운 사실은 미미바이러스.유전자를 다른 생명체의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박테리아보다는 진핵생물과 더 가깝다는 점이다.이런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시작이었다. 틴슬리 교수는 대학원생이라면 1주일에 100시간은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던
학자
였다. 세계에서 톱클래스를 유지하려면 그 정도로 노력하지 않곤 안 된다며 그 자신도 주말을 연구실에서 보냈다. 이런 분위기에서 김 교수는 기본부터 다시 공부했다. 물리역학, 현대수학을 집중적으로 ... ...
X선 광전자 분광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X선이나 자기장은 인체 각 조직의 성분과 밀도에 따라 투과되는 에너지 양이 다른데, 과
학자
들 이런 차이를 영상으로 드러냈다.- 과학동아 2008년 2월호(라) 수소 원자 2개가 전자 2개를 공유해 수소 분자를 만들면 수소원자들은 전자 두 개를 치우침 없이 공유한다. 하지만 염산은 어떨까. 염소는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천문
학자
라 하면 망원경으로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기 쉽지만, 요즘 천문
학자
는 직접 망원경을 들여다보지 않는다. 망원경으로 들어온 영상은 컴퓨터에서 합성된 뒤에야 우리가 보는 사진이 된다. 전파망원경도 마찬가지다. 지도의 등고선처럼 위치별로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 영상을 ... ...
현지취재_진화론이 살아 숨 쉬는 다윈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상태에서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 다윈센터이기 때문이다. 영국이 자랑하는 과
학자
다윈의 이름을 내건 다윈센터에서 그의 진화론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규명이 아무리 중요하다 해도 우주의 신비는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천문
학자
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20세기 초 허블이 발견한 은하의 생성과 진화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과 달리 은하 생성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파장인 근적외선으로 관측할 수 있다.근적외선은 2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진을 넣은 명함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건넸다. 다윈의 이런 명함용 사진은 성스러운 과
학자
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김창배 교수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동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200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