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내려 민물 고둥이나 조개를 파먹는다.허 교수는 자신도 모르는 내용은 전 세계 공룡
학자
들에게 e메일을 보내거나 전화로 문의했다. “한 번은 깃털공룡을 발굴해 ‘네이처’에 논문을 냈던 중국 수싱 박사에게 급하게 휴대전화로 랩터와 관련한 질문을 했는데, 당시 랴오닝 발굴 현장에서 있던 그가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만했다. 심지어 어릴 적부터 자식들에게 천문학을 공부시켰음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천문
학자
를 뽑는 과거 시험에 어린 나이로 합격하는 경우도 자주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의 신분은 세습되는 것은 아니었고, 뛰어난 공을 세우면 현감 정도의 벼슬까지는 할 수 있었다.일제 강점기에 잠시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지름이 수십km 이상인 아주 큰 놈들만 겨우 관측될 뿐이다.이들이 모두가 아니다.
학자
들은 해왕성 거리의 수십 배, 수백 배, 아니 수천 배에 이르는 광활한 태양계 외곽 공간에도 크고 작은 소천체들이 부지기수로 존재할 것으로 예측한다. 지금까지 명왕성만큼이나 큰, 지름 수천km의 천체 몇 개가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판 하천 해석 전문가“벌써 20년이 넘었네요. 요즘 이렇게 한 분야만 오랫동안 연구하는
학자
가 드물죠.”18년 전 발표한 서 교수의 박사학위 논문은 하천 해석 모델에 관한 연구다. 다만 그 때는 해석 방식이 선(1차원)과 면(2차원)을 적절히 섞은 1.5차원이었다. 최근 개발한 램스는 2차원 모델이다. 1. ... ...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가장 좋겠고 다음으로 후커 박사에게 부탁해 보시오.”이 글은 1844년 7월 5일 영국의 생물
학자
찰스 다윈이 종(種)에 관한 글을 다듬어 초안을 완성하고 아내인 엠마에게 보낸 편지다. 다윈은 1859년 11월 24일 ‘종의 기원’을 출판했는데, 발간 하루 만에 1250권이 매진됐다. 이 책은 “생물은 변이를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옮김 | 황소자리 | 270쪽 |1만 2800원유럽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수
학자
라는 저자는 직업수
학자
이면서도 일반인을 위한 수학 글씨기를 계속하고 있다. 독일의 유명한 과학 잡지 ‘빌트 데어 비센샤프트’에 연재한 에세이를 묶은 이 책은 수학에 두려움을 지닌 사람도 웃으며 읽을 수 있는 따뜻한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모두에 대해 방어하기 위해서다. (나) 사람의 혈액형을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학자
에 따라 이용하는 혈액형 항원의 종류가 500여 종이 넘는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혈액형 분류는 ABO 혈액형이다.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 종류에 따라 4종류로 사람의 혈액형을 분류한다. 항원은 주로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편견과 이에 따르려는 행동을 전두엽이 억제한다는 뜻이다.첫인상과 뇌를 연구하는 과
학자
들은 첫인상이 형성되는 순간 피질하 구조와 신피질 구조 사이에 일어나는 구체적인 작동원리를 밝히는 데 몰두하고 있다.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전두엽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뇌 훈련과 교육 프로그램을 ... ...
[지구과학]모래층에서 발견된 지진해일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증거인 셈이다.잔카우 박사는 “이 연구 결과가 과거 지진해일의 기록에 대한 과
학자
들의 이해를 도울 것”이라고 설명하며 “앞으로 닥칠 지진해일의 피해를 막는 기초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해저지층, 해양 동식물 샘플 보관에서 대여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2011년까지 158억 원을 들여 건설할 예정인 해양시료도서관은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해양과
학자
를 꿈꾸는 학생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임 박사는 “학생들이 직접 해양시료를 분석하고 연구보고서를 쓰는 교육실험실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시료도서관이 21세기 한국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