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상자로 선정됐다.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극장에서 열린 이그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한 과
학자
들은 코카콜라를 마시며 이들의 수상을 축하(?)했다.이그노벨 의학상은 미국 듀크대에서 행동경제학을 연구하는 댄 아릴리 교수에게 돌아갔다. 아릴리 교수는 MIT 재직 시절 두 그룹의 지원자들에게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진화는 종교에 대한 도전인가’ ‘음악이 어떻게 진화하나’ 등과 같은 질문에 현대 과
학자
들의 흥미로운 대답이 준비돼 있다.19세기 다윈의 방을 엿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영국 켄트 주 다운에 있던 그의 방을 실제로 재구성했다. 그의 대표작 ‘종의 기원’을 비롯해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윈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별도의 동력 없이 우주공간을 비행하는 초소형 우주 비행체를 만들 수 있을지 모른다.과
학자
가 넘어야 할 벽은 수없이 많지만, 이런 벽을 넘으려는 시도는 날로 넓어지고 새롭게 창조된다. 조영호 교수 >영남대 기계공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KAIST 기계공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 ...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극단 생태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토머스 P.페이책(Thomas P. Peschak)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활동하는 해양생물
학자
이자 사진작가. 10년 넘게 아프리카 해양과 사막을 찍고 연구해왔다. 올해의 BBC-셸 야생 사진가 상, 피지 사진 상 등을 수상했다. ‘과학동아’ 2008년 5월호에 ‘남아프리카 바다 속 상어이야기’를 실었다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어류에서 육상동물로 진화하는 연결고리를 찾아 ‘네이처’에 발표한 저명한 고생물
학자
다.실제로 라이트는 ‘스포어’를 개발할 때 슈빈 교수에게 생명체가 어떻게 육지에서 걷게 됐는지 자문을 구했다고 한다. 슈빈 교수는 라이트에게 “후기 데본기 바다 속에는 포식동물 천지였다”고 ... ...
붓질하면 다 나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지문이 같을 확률은 10억 분의 1. 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은 서로 다르다. 그래서 곤충
학자
인 그리썸 반장도 범죄현장에서 범인을 찾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단서로 지문을 신뢰한다. 지문은 어떻게 찾을까?가장 손쉬운 방법은 분말법이다. 대개 알루미늄가루나 흑연가루, 숯가루 같은 접착력이 강한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과
학자
들은 우연을 필연으로 바꾼다. 이와 같이 우연을 필연으로 바꾼 예를 찾아보고, 과
학자
의 우연이 일반인의 우연과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논의해보자.생각 거리 2 >> 에디슨의 영감과 같은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타고나는 것인가 아니면 계발되는 것인가?생각 거리 3 >> 에디슨은 영감 없는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제목의 논문이 나오면서 MSG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낙인찍혔다. 영국 런던대 신경생물
학자
스티븐 로즈 교수는 “글루타메이트(MSG의 음이온)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라며 “이런 물질을 음식으로 과도하게 섭취하면 신경독성 증상 즉 중국식당증후군이 나타난다”고 말했다.이런 인식과는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하고. 그런데 ‘악플’을 읽을 때 심리적인 충격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한 심리
학자
는 이렇게 설명하더군. ‘악플’ 자체보다는 그 글을 읽을 때 어떤 상황인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이야. 대낮에 길을 걸어가고 있다고 생각해봐. 그런데 전혀 모르는 사람이 난데없이 욕을 하는 거야. 그러면 기분이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사회적 효과는 시간이 흐를수록 커진다.요즘 정부와 국민이 한 목소리로 우리나라 과
학자
가 노벨상을 수상하기를 바라는 현실을 기쁘게 생각하며, 그에 상응하는 지원이 구체적으로 현실화되기를 염원한다.일본 입자물리학 연구의 토대를 닦은 니시나 요시오 박사(1890~1951년).니시나 박사의 친필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