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미 달 탐사 협력 본격화, 새 장을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31
궤도선과 달 착륙선을 잇달아 발사할 예정이다. 무게는 각각 550kg 정도. 달 착륙선에는 달
표면
을 누빌 무인로봇(로버)도 실린다. 이에 앞서 2017년에는 시험용 달 궤도선을 미국 발사체에 실어 달에 보낼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제공 달 탐사 사업 주관기관인 ... ...
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한 거대(?) 인공세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8
표면
의 단일막과 합쳐 세포막과 같은 이중막 구조를 만든 것.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물
표면
에 완전히 합쳐지지 않도록 계면 활성제가 사용됐다. 계면 활성제는 세포막이 완성되면 자연스레 빠져나가기 때문에 인공세포막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공세포막을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할 수 ... ...
화성에서 숟가락 발견?
팝뉴스
l
2016.12.28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해 만들었다. 누런 땅
표면
을 클로즈업하면 이상하게 낯익은 물건이 보인다. 그렇다. 우리도 매일 사용하는 숟가락이다. 저것이 정말 숟가락이라면 대발견이다. 화성에 숟가락을 이용하는 생명체가 살고 있거나 살았다는 이야기다 된다. 화성에서 ... ...
인체에 치명적인 ‘염증 반응’ 억제할 방법 새롭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때 간 손상이 더욱 심각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즉 Axl 수용체가 대식 세포
표면
에서 자가포식이 진행될 때 염증 반응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염증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이용해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거나, 염증을 만드는 효소를 억제하는 ... ...
세균의 내독소,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움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26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세균 중 '그람음성균'에 속하는 것들은
표면
에 내독소를 갖고 있다. 내독소는 우리 몸 속에서 독소로 작용해 면역세포를 자극한다. - 김호민 교수 ... ...
[개소리 칼럼 10] 물건을 망가뜨리는 강아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해결하기 위해 개 스스로의 취향에 맞는 물어뜯을 거리를 찾게 됩니다. 그 가운데
표면
은 보드랍고 속은 단단한 사람의 신체는 개가 아주 좋아하는 물어뜯을 거리입니다(웃음). 사실 이 문제는 이빨이 모두 다시 난 뒤라면 문제가 사라집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무는 행동을 그냥 둘 순 없습니다. ... ...
[카드뉴스] 물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4
바실리스크 도마뱀은 물위를 달리는 동물로 유명합니다. 뒷발을 강하게 내딛은 후 물의
표면
장력을 이용해 1초에 20번 이상 발자국을 옮깁니다. 같은 방식으로 성인 남성이 물 위를 걷기 위해서는 시속 112km로 달려야 합니다. 육상선수 우사인 볼트의 100m 세계신기록보다 3배 정도 빨리 달려야 한다는 ... ...
사이언스 선정 ‘올해의 10대 과학 연구 성과’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렌즈에 굴곡을 만드는 대신 나노 크기의 이산화티타늄으로 만든 핀을 평면의 유리
표면
위에 배열해 빛의 방향을 조절했다. 빛의 파장보다도 짧은 거리에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고, 40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체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
2016.12.21
바이러스에는 각각 HnNn형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습니다. 이때 Hn도 Nn도 바이러스
표면
에 있는 단백질 종류를 기준으로 붙여진 이름인데, H관련 단백질(전문 용어: HA)이 16종류, N 관련 단백질(전문 용어: NA)이 모두 9종류이며 발견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바이러스 이름을 완성합니다. 둘 중 ... ...
의료용 나노물질 안전하게 전달… 무독성 인공세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구형 형태의 물질. 약물의 전달 등에 주로 쓰입니다. 나노 물질을 우리몸에 이용하려면
표면
을 생체친화적 물질로 코팅해야 합니다. 강 교수 연구팀은 나노 인공세포를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나노 인공세포란 인간 세포와 유사하게 내부에 금속 나노입자가 있고, 이를 세포막의 구성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