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되는 ‘호헨버그-콘 밀도 정리’를 만들었다. 이들은 개별 전자가 아니라 응집물질
표면
의 전자 밀도 분포를 구해 물질의 특성을 밝힐 수 있음을 보였다. 이듬해 미국으로 돌아온 콘은 박사후연구원 루 샴과 함께 밀도함수이론으로 응집물질의 특성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콘-샴 정리’를 ... ...
[제13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호박꽃잎을 100배 확대하면?
과학동아
l
2016.12.14
있다 꽃(나예성, 초등부 바이오문화상) 호박꽃잎을 광학 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했다. 잎
표면
에 있는 기공과 그 주위가 마치 꽃 안의 꽃처럼 보인다. 연보라 색을 입히니 지난 가을 코스모스처럼 보이기도 한다. ※ 편집자 주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충청북도와 (재)오송바이오진흥재단,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퀀텀닷’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3
외부의 반도체 ‘껍질층’으로 구성돼 있다. 빛을 내는 데는 발광층만으로 충분하지만
표면
이 불안정해 안정성이 높은 껍질층으로 둘러싸는 구조다. 그러나 껍질층이 두꺼워질수록 높은 에너지가 발광층에 바로 전달돼 균열이 일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점점 광효율이 떨어질 우려가 높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분자화석으로 지구 역사를 재구성한 화학자, 지오프리 에글린턴
2016.12.12
같은 최신 분석기기를 써서 복잡한 혼합물을 분리해 구성 성분을 규명했다. 특히 잎의
표면
을 덮고 있는 왁스를 집중적으로 연구했고 196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14쪽에 이르는 논문으로 정점을 찍었다. 에글린턴은 잎의 왁스 분석 경험을 바탕으로 ‘분자화석(molecular fossil)’이라는 ... ...
고양이 혀 닮은 로봇으로 로봇 약점을 극복?
2016.12.11
정교합니다. 이에 연구진은 3D로 인쇄된 고양이 혀의 모양을 기반으로 그와 유사한
표면
을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바로 고양이 혀의 유연성이 정리가 쉬운 머리 빗부터 섬세함이 생명인 의료 분야의 로봇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지요. 한편 연구진은 다른 고양이과의 ... ...
(영상) [2016 노벨 물리학상] 역대급 어려운 노벨 물리학상 이론, 영상으로 쉽게 알아볼까요
과학동아
l
2016.12.11
호수의
표면
상태와 회오리가 생긴 상태는 위상적으로 다른 물질인 것입니다. 호수
표면
이 회오리로 가득 차고 그 회오리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 상태가 바로 2차원 물질에서 상전이가 일어난 상태입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은 미래의 전자소재용 신소재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 ...
묵직한 무게만큼 깊은 맛을 내는 ‘주물’ 냄비는 이렇게 관리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09
사용 전 시즈닝을 약 5회 정도 반복하기를 권장한다. 시즈닝 과정을 반복할수록 무쇠
표면
은 점차 검은 색을 띄며 매끄러워져 요리하기에 최적의 상태가 되니 번거로워도 잘 길들여진 나의 연장(?)을 위해서라도 불편함은 감수해 보기를! 시앙스닷컴(www.ciangs.com) 제공 STEP 2 [조리 중] 냄비 안의 ... ...
3주새 772만 마리 도살처분… “AI를 막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6.12.09
병원성과 전파력도 달라진다. 올해 유행하는 AI는 ‘H5N6’로 분류된다. AI 바이러스는
표면
에 있는 헤마글루티닌(HA)과 뉴라미니다아제(NA)란 이름의 단백질 종류로 구분하는데, 발견된 순서에 따라 번호가 매겨진다. H5N6는 5번째로 발견한 HA와 6번째로 발견한 NA가 함께 들어있는 경우다. 과학계에선 ... ...
위조지폐·위조여권… 적외선만 쪼이면 한 번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해 새로운 위조방지 필름을 제작했다. 은 나노와이어
표면
의 전자가 진동할 때 전자기파가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해 적외선을 쪼였을 때 또렷한 가시광선이 나오도록 만들었다. 이 기술은 진품의 인증 라벨을 복제하거나, 떼어내 다시 사용할 수 없어 보안성이 높은 ... ...
모든 액체에 젖지 않는 테이프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6.12.06
않고 동그란 모양을 형성했다. 지금까지 슈퍼옴니포빅 코팅은 스프레이로 뿌리거나
표면
에 새기는 형태였다. 그러나 비싼 장비가 필요하고, 기술이 복잡해 숙련된 전문가들만이 만들 수 있었다. 코타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필름은 테이프처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며 “부식을 막고 세척하지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