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나와 에덴동산설은 점점 무게를 더해갔다.인류학자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화석은 어떤가.
남아
프리카 그랜시즈 리버 마우스 유적군에서 60년대 후반과 84년 2차에 걸쳐 약10만년 전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화석이 발견됐다. 더욱이 이 직후(7~9만년전)의 층에서는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이룩한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삼엽충은 탈피를 통해 성장하게 되므로 탈피한 후 남긴 껍질이 무수하게 화석으로
남아
있다. 이들중에는 캄브리아기의 해저를 기어다니면서 생활했던 종류도 있었고 어떤 종류는 물 속을 헤엄치면서 다니기도 했다.애타배니언시대의 동물이 토모시언시대의 동물과 현저하게 다른 점은 크기가 무척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사실 포유동물로 분류된다.그러나 아직도 오리너구리와 가시돋친 개미핥기는 의문으로
남아
있다.퀸스대학의 질스 매킨타이어씨는 동물의 3차신경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모든 포유동물의 3차신경은 특별한 뼈를 하나 타고 흐른다. 그런데 파충류의 경우엔 두뼈 사이로 흐른다. 융합되기 전의 어린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따라서 이미 산란이 많이 된 파란색은 볼 수 없고 파장이 긴 붉은 색만이 마지막까지
남아
관측된다.반면 정오에는 태양빛이 거의 수직각도로 지표면에 쏟아지고 대기층도 가장 얇게 거치기 때문에 산란정도가 크지 않아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두드러져 보인다.그러나 레일라이는 대기오염이 놀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없는 비경으로 간주돼 왔으며, 인공위성이 날고 있는 현대에도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인간은 옛날부터 바닷속을 보고 싶은 호기심이 강했다. B.C.332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대왕은 유리통속에 들어가 깊은 물속에서 사흘간 지냈다고 한다. 그로부터 2천여년이나 지난 후에야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근일점에 대해서는 1859년 이후 거의 반세기 동안 천체역학에서는 풀리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었다. 많은 제안은 이 수성의 근일점이 빗나감을 설명할 수 있을지언정 직접 광학적 관측에 의한 물체의 관측은 안됐기 때문이다. 일반상대성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비정상적인 이동을 설명할 수 있었는데 ... ...
멸종 위기에 놓인 거대참치 블루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미 10년전부터 국제법으로 블루핀어획량을 제한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서대서양에
남아
있는 블루핀의 숫자는 20년전에 비해 10%에 불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이와 관련해 최근에는 이 블루핀을 멸종위기의 동식물보호법에 준해 보호하자는 강력한 대안까지 제시되고 있다. 흔히 CITES라는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보관하고, 불에 해당하는 중성자로부터 완전히 격리시킬 수 있는가가 늘 어려운 숙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언제 사용하게 될지도 모르는 핵폭탄을 보유하면서 행여 자기 진영에서 터질까봐 전전 긍긍하고 있는 실정이며, 항상 위협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핵무기의 폐기는 사실상 양대진영이 서로 ... ...
오묘한 서리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한가지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즉 -20℃ 정도에서도 얼지 않고 액체 그대로
남아
있는 과냉각물방울을 찾을 수 있다. 과냉각물방울은 같은 온도의 서리나 눈에 비해 포화증기압이 높으므로 창서리 주변에서 증발해 서리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물과 얼음의 포화증기압의 차이가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지극한 사랑을 받아 번식한 개들이 오늘날에도 후지산 일대의 원시림에 야생견으로
남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도 일본 동북지방의 산골에서는 개를 잡아 먹는다고 한다. 과영양이 더 심각해지금부터 건강식은 과연 어떤 효능이 있으며 누구나 그런 효능을 얻을 수있는가를 알아보자.최근에 ... ...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