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할 것 같아요. 아이들이 흥미를 갖고 있고 컴퓨터 교육을 맡은 교사들이 저녁 8, 9시까지
남아
애쓰는 것을 볼 때마다 우리 컴퓨터교육의 장래는 밝다는 것을 느낍니다.이-'교육'은 곧 '실천'이라는 생각입니다. 컴퓨터교육도 시작은 정부주도로 됐지만 교육이 끌려만 다녀서는 실효를 거둘 수 없다고 ... ...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상당히 증명된 자료인데 단지 소음을 스트레스의 원인에 넣느냐 마느냐하는 문제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부분별 상관관계는 상당히 신빙성이 높으나 전체적인 가설은 아직 역학적으로 규명되지 않았다.이 가설은 다음과 같은 가정에 근거를 둔다. 소음이 스트레스를 유발해 도표와 같은 연쇄적인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그러나 이 방법은 아직 실험중에 있다. 과연 일반 대중에게도 유효하냐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결론적으로 멀미를 예방하려면 여행을 떠나기 전에 우선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수면부족도 멀미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멀미약을 복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늘 부작용에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남아
있기에는 부적합했을 것이다. 그러나 캄브리아기로 접어들면서 생물들은 화석으로
남아
있기 쉬운 형태를 갖기 시작했다.또 배양액 속의 박테리아가 S자형의 생장곡선을 나타내듯이, 원시지구로부터 캄브리아기의 대번성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생물의 다양성 증가 또한 S자형 곡선을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쌍둥이로 니뉘고 각각은 중성자나 양성자가 될는지 모른다. 그렇더라도 개개의 쿼크들은
남아
우주선(線) 속에서 모습을 나타낼 지도 모른다. 각각의 쿼크는, 다른 그 어떠한 입자들도 가질 수 없으며 또한 그런 상태로 발견될 수도 없는 아주 적은 양의 전하를 띠고 있을 것이다.미소한 전하를 갖춘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않은 과거에 몽고에서 이 지역으로 진출했다.그러나 오늘날 이들은 극히 소수만이 살아
남아
있을 뿐이다. 현재 퉁구스족은 불과 수백명, 부리야트족은 1만5천명 정도만이 살고 있다고 한다.그렇다면 바이칼호 지역에 인간이 최초로 살기 시작한 때는 언제쯤일까. 호수의 호안을 따라서는, 앞에서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연현상을 해석하려는 경향들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그때까지 개별적인 지식으로
남아
있던 전자기학 열역학 분야가 차례로 체계화하여 오늘날과 같은 물리학 분야가 독자적인 학문으로 구별 정립된다.물리학을 본따 생물학에서도 종합화 체계화가 이루어지는데 생물학에서는 이러한 일이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1백m를 3.2초에 달렸다는 기록도 있고 뛰기 시작한지 2초만에 시속 72㎞를 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람으로 알려진 미국의 칼 루이스가 보유하고 있는 1백m 달리기 기록이 9초 92인 것과 비교해 보면 치타의 스피드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 어렵지 않다.야생동물의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① 추운 겨울은 식물의 대사가 활발하지 못할 때이므로② 눈이 오랫동안 지표에
남아
녹아 없어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③ 이산화황 농축효과가 비보다 눈에서 더 크기 때문에④ 눈과 이산화황의 반응이 잘되기 때문에2. 강이나 호수의 산성화 때문에 고통받는 물고기들은 산성 그 자체 ... ...
가축의 전염병이 야생동물에게 전파돼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수는 들개 수의 두배 이상이고 아프리카 코끼리는 들개보다 16배나 더 많은 수가 살아
남아
있다"고 미국 UCLA의 유전학자 로버트 웨인은 경고한다.그동안 해로운 동물로만 취급되기 일쑤였고 관심도 거의 끌지 못했던 들개는 몸에 황색 흑색 백색의 점이 나 있고 커다란 귀가 특징적이다. 그들의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