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많은 문제들이 풀렸으나 18번 문제는 오래도록 풀리지 않고 사람들의 머리속에 희미하게
남아
있었다.물론 그 동안에도 많은 사실이 알려졌다. 특히 케플러의 구포장 문제가 고차원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연구하면서부터 문제 자체에 대한 심각한 회의가 던져지기도 했다. 차원이 1천차원을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물질 1kg을 회수하는데 20억달러라는 엄청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자금 조달이 아직 문제로
남아
있다.혜성의 물질이 회수된다면 그 물질들은 아마도 지구상에서 가장 값비싼 '보석'이 될 것이 틀림없다. 그러나 이 물질은 혜성의 기원 및 태양계의 생성과 진화를 밝히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 ...
더 밝은 물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않을 것이다. 준성체는 자체의 복사 압력이 성운을 날려버릴 때까지 고작 1백만년 밖에
남아
있지 못한다. 그 결과, 만약 준성체가 바로 그 발광체의 원인이라면 (천문학 용어로 설명해서)그 준성체의 불은 켜진 셈이다.그러나 만약 그 발광체가 별들의 형성에 의한 것이라면 그 성운은 어쩌면 점화의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앞면의 지각 두께 60km와 대조된다. 이 점은 아직도 달의 형성과 관련된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달의 내부는 과연 녹아 있는가. 물론 달에도 과거에는 화산활동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 활동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됐나 하는 것은 달의 내부가 아직도 녹아 있느냐와 관련돼 있다. 이 점은 달의 역사를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광복 직후 건축물의 신축은 거의 없고 대부분 개수작업에 국한됐으며, 6.25 직후 지금은
남아
있지 않은 반도호텔(8층)이 화신백화점과 더불어 소위 고층빌딩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기간중에 전후 복구사업을 위한 외국의 새로운 기술과 자재의 도입으로 고층건물 건설의 기초적인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남편도 지구과학을 전공한 사람인데 그동안 남편은 현장탐사를 나가도 저는 늘 집에
남아
있었죠. 앞으론 아이들도 데리고 꼭 같이 가야겠어요(일동 웃음). 9기 탐사대가 앞으로도 1년에 한번쯤 이번 탐사와 같은 활동을 하거나 함께 토론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면 좋겠습니다.정봉섭 이렇게 좋은 ... ...
그리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되었으나 경제적으로는 아직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이웃으로
남아
있다. 현재 국민소득은 4천5백달러 정도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이다. 또 그리스는 6.25 참전국으로 우리나라와는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맺고 있다. 고대와 현대가 공존하는 아테네그리스의 수도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이름이 달표면에 명명됐으나 아쉽게도 한국인은 한명도 없으며 이제는 붙일 크레이터도
남아
있지 않다.어떤 장비가 필요할까?달은 그 크기가 맨눈으로도 원반모양으로 보일만큼 광도도 충분해 그 표면을 감상하기에는 그다지 큰 망원경이 필요치 않다. 중·고배율 쌍안경 또는 6~10cm급의 망원경이면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고지자기 학자들의 주도로 이뤄졌는데 몇가지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그들은 암석중에
남아
있는 잔류자기의 방행과 복각을 측정한 결과, 시대에 따라 극의 위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처음에는 자극자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얼마 후 지각이 이동하게 되면 마치 자극이 이동한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볼 수 있다. 25㎝ 망원경 2백50배로 보면 고리속의 빈 공간이 완전히 어둡지 않고 가스체가
남아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사진에서는 가스속 공간이 완전히 어둡게 나타나는데, 이같은 차이는 이 성운이 빛의 파장에 따라 모습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진은 적색 파장에 민감한 필름이 주로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