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지] 2018 지구사랑탐사대 선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6기 대원으로 전국에서 총 662팀, 2131명이 선발됐어요. 대원들은 4월에 열리는 발대식을 시작으로, 생태학자와 함께 현장탐사를 하게 돼요. 이후 자발적으로 탐사를 하며 여름 캠프, 정기 강좌 등에도 참여할 수 있지요. 전국 방방곡곡에서 펼쳐질 지사탐 6기 대원들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할게요 ... ...
- Part 2. [스마트 바퀴1] 모양을 바꾸면 성능 UP!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통나무를 굴리는 데에서 시작됐다니, 재밌지?! 하지만 바퀴의 진화는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야. 미래의 바퀴는 모양이 다양하게 바뀌면서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이고 있지. 공기를 넣지 않아도 되는 바퀴가 있고, 동그란 공 모양의 바퀴도 개발되고 있다고! 공기 없는 바퀴, 에어리스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수는 2017년 일본에서 열린 계산기하 워크숍을 계기로 이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원래보다 더 강력한 문제를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가구의 크기를 마음대로 몇 배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신기한 가구가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가구를 각 θ 방향으로 놓았을 때 가구를 ... ...
- 연필과 수학의 필연적 만남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떨어지지 않아서 목수들이 주로 사용하지요. 깎는 것도 입맛 따라!나무 연필을 쓰기 시작했을 때 사람들은 ‘펜나이프’라는 작은 칼을 가지고 다니며 연필을 깎거나 사포를 이용해 연필을 갈아서 썼어요. 칼로 깎으면 솜씨가 좋아도 연필을 매끈한 원뿔 모양으로 깎기 어렵고, 사포를 이용하면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모순이 발생하는 일이 빈번했다. 더욱이 모순이 발생할 때마다 수학의 위기설이 돌기 시작했다. 위기설이 탐탁지 않았던 힐베르트는 이를 막아야 한다는 생각에 수학이 논리적으로 완벽하다는 것을 증명할 ‘힐베르트 프로그램’을 내세웠다. 수학의 모든 체계는 모순이 없으며, 모든 수학 명제는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다윈의 진화론을 따르는 학자들이 같은 종 안에서 나타나는 다양성을 수학으로 분석하기 시작했고, 이 개념이 발전해 현대 수리통계학으로도 이어졌죠. 유전학은 경우의 수가 너무 많고 돌연변이 같은 변수도 있어서 계산이 복잡하고 예측도 쉽지 않아요. 또 집단유전학은 변화가 느리고 표본도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시작보드(A)를 첫 번째 모양(M1)에 맞춰 c1번 뒤집었으면 A+c1M1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결국 시작보드를 뒤집어서 도착보드로 만들 수 있으려면 A+c1M1+c2M2+…+c9M9=B가 되는 c1~c9이 있다는 뜻이에요. 이제 A와 B의 각 칸에 적힌 9개 숫자를 기준으로 써보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어요. 위 식을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통해 숨겨져 있던 진실을 파헤치는 이 과정은 하나의 혁신이었다. 또한 변화이자 새로운 시작이었다. 지금부터는 피해자의 사망시각에 맞춰 용의자를 압축하고 알리바이를 확인하며, 범행을 입증하는 수사절차가 남아있다. 수사팀은 절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이제 겨우 범죄에 희생된 억울한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도서관에 가서 과학강연을 기부하는 ‘10월의 하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했으니 올해로 벌써 9년째다.그는 “과학자를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어린이들은 과학자를 꿈꾸기 어렵다”며 “청소년에게 누구나 과학자가 될 수 있다는 꿈을 심어주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밝혔다.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성질을 연구하던 화학자들은 물질의 양을 구성요소의 수로 나타낼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입자 한 개의 질량은 너무 작아 측정하기 어렵고, 그 수는 너무 많아 세기 어렵기에 입자의 묶음이라는 몰(mole) 개념을 만들어냈다. 몰(mole)이라는 명칭은 독일의 화학자 빌헬름 오스왈드가 1894년 독일어의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