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불리는 힉스를 발견하며 유명세를 탄 유럽의 ‘강입자가속기(LHC)’는 1984년 처음 구상을 시작한 이후 1998년에야 첫 삽을 떴다. 완공까지는 10년이 걸렸다. 그 사이 여러 번 중단 위험이 있었다. 6월 지방선거 동시 개헌은 무산됐지만, 개헌을 통해 과학계가 담고 싶은 내용은 하나다. 과학기술의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쥬라기 공원’은 도미니카산 호박(琥珀·amber)에서 공룡의 DNA를 뽑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공룡의 피를 빤 모기가 호박에 갇혔다는 설정이다. 영화에서 과학자들은 이 DNA를 이용해 공룡을 복원했다. 염기서열 중 비어 있는 부분에는 개구리 유전자를 채워 넣었다. 하지만 아무리 모기가 호박 속에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치료에 활용된 역사는 꽤 길다. 일본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NIRS)가 처음 임상연구를 시작해 1994년 세계 최초로 의료용 중입자가속기(HIMAC)를 개발했다. 의료용 중입자가속기는 탄소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장치다. 이후 가속된 입자를 몸속 암세포에 충돌시켜 종양을 사멸한다. 이때 초당 1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마음’이 MBC 베스트극장에서 ‘토끼의 아리아’라는 제목으로 드라마화되면서 활동을 시작했다. ‘당신과 꼭 결혼하고 싶습니다’ 등 중단편 소설집과 ‘사기꾼의 심장은 천천히 뛴다’ 등의 장편소설을 냈다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문제가 재미있어 보였어요. 정말 8개뿐일까 궁금했고요. 그래서 새로운 무늬를 찾기 시작했지요. 수학을 제대로 배우지 않아서 용어나 기호를 잘 몰랐던 라이스는 자기만의 표기법을 만들어서 테셀레이션을 연구했어요. 그로부터 몇 달 뒤, 새로운 테셀레이션 방법을 4가지나 찾았어요! 전문가가 ... ...
- [과학뉴스] Hi-SEAS 6, 대원 하차로 임무 취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대원 중 한 명이 다쳤어요. 다행히 별 이상이 없어서 철저한 안전점검 후 미션이 다시 시작될 예정이었지만, 또 다른 대원이 하차 의향을 밝히며 결국 미션6은 취소됐지요. Hi-SEAS는 실제 유인화성탐사 대원 수인 4명에 맞게 진행되기 때문에 인원이 부족하면 취소될 수밖에 없답니다. 이번 미션에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뿐! 현재 과학자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의 나이가 138억 년이라고 해요. 한 점에서 시작한 우주는 시간이 지나며 점점 커졌고, 지금은 지름이 930억 광년인 거대한 우주가 됐다고 하지요. 이처럼 우주의 크기를 가늠한다는 건 우주 공간이 유한하다고 말하는 것과 같아요. 즉, 우주엔 끝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경칩’이었어요. 그런데 경칩 즈음이면 산 속에도 개구리를 닮은 식물이 나타나기 시작한답니다. 바로 ‘개구리발톱’이에요. 개구리발톱은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제주도에서 살고 있는 식물이에요. 3~5월 사이 하얗고 작은 꽃을 피우는데, 살짝 분홍빛을 띠기도 하지요. 개구리발톱이란 이름을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나는 군집드론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현장. 캄캄해진 밤하늘에 불빛이 반짝이기 시작했어요. 수천 개의 불빛이 만든 작품은 바로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이었지요. 곧이어 불빛들은 위치와 색깔을 바꾸며 빨간 하트 모양으로 바뀌었답니다. 컴퓨터 그래픽인 것만 같은 이 황홀한 불빛의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시작해 지금까지 16개 품종을 출시했다. 본격적으로 분자육종을 통한 품종 개발은 2010년 시작됐고, 현재 3개 품종이 분자육종과 전통육종의 결합으로 개발됐다. 이성희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약 9만 개의 SNP 유전자 마커 칩을 이용해 딸기 개체별로 유전자 마커의 특징이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