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생명과학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재밌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영구치가 막 나기
시작
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50명의 타액(침)을 채취했다가 4년 뒤의 상태와 비교한 겁니다. 50명 중 12명에게는 충치가 생겼고, 38명에게는 생기지 않았습니다. doi: 10.4014/jmb.1710.10028 연구팀은 충치가 생긴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할 기회가 없었지요. 그러던 중 2002년 리에주대학교에서 외계생명체에 관한 연구를
시작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답니다. 마침 그 해에 외계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냈다는 연구가 처음 발표됐지요. 이때 조만간 외계행성의 비밀을 밝혀낼 수 있겠다는 확신에 외계행성 연구에 뛰어들었어요. Q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않고 있어서 다득점 월드컵이 될 거라는 전망이 우세했었습니다. 실제로 월드컵을
시작
하고 보니 상대적으로 많은 중거리 슛 득점과 골키퍼의 미숙한 볼 처리가 나오며 예상했던 다득점 경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FIFA 입장에선 공인구 제작의 의도대로 결과가 나온 셈이겠죠? 조별 예선이 모두 ... ...
[과학뉴스] 물총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여름이
시작
되는 7월을 맞아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 줄 물총을 준비했습니다.7월 7일부터 이틀간 서울 신촌에서는 ‘물총 축제’가 열리는데요. 올해로 6회째를 맞는 물총 축제 기간에는 신촌 일대가 조금 과장해서 ‘물바다’가 됩니다. 물총은 간단하게 짜는 방식부터 펌프나 전동장치를 이용한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연구에는 브루스 월드만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해 항아리곰팡이가 한국에서
시작
된 것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국에서 채집한 항아리곰팡이 시료가 가장 유전적 다양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항아리곰팡이가 국제적인 문제를 일으키기 훨씬 전인 1900년대 초에 채집된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약 68.3%가 암흑에너지이고, 암흑에너지 형태의 에너지가 있어 우주가 가속팽창하기
시작
했다는 건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암흑에너지의 양이 왜 이렇게 많은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심지어 이론가들의 예측과 관측 결과의 오차가 가장 큰 부분이 암흑에너지의 양이다.박 교수팀은 초기 우주가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서 씨는 1학년 때 미리 자기소개서 준비를
시작
하는 것도 진로 설정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자기소개서에 있는 여러 항목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며 “수상 내역을 적을 수 없는 만큼 다양한 활동을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모아 교실에 방치된 고장 난 비품을 수리해 주는 활동을 기획하기도 했다. 소규모로
시작
했던 이런 활동들은 전교 학생들에게 호응을 얻으면서 큰 규모로 확대됐다. 공 씨는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학습법 정립을 시도하고 다양한 활동을 기획해서 진행했던 점들이 좋은 평가를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등장할 수도 있지요. 이처럼 공룡의 모습을 다양하게 상상해 보는 것이 바로 공룡 연구의
시작
이랍니다. 또 공룡에 대한 상상은 외형에만 그치지 않아요. 보통 영화나 그림에서 공룡은 사냥하거나 서로 으르렁거리는 모습으로 표현되곤 해요. 하지만 공룡도 코끼리처럼 진흙 목욕을 즐기거나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불리는 힉스를 발견하며 유명세를 탄 유럽의 ‘강입자가속기(LHC)’는 1984년 처음 구상을
시작
한 이후 1998년에야 첫 삽을 떴다. 완공까지는 10년이 걸렸다. 그 사이 여러 번 중단 위험이 있었다. 6월 지방선거 동시 개헌은 무산됐지만, 개헌을 통해 과학계가 담고 싶은 내용은 하나다. 과학기술의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