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두 발로 달릴 경우는 측면으로 밀어내는 힘도 작용한다. 그때마다 옆으로 충격이 오니
조금
만 달리면 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것이다. 답은 다시 인간의 달리기 모습을 관찰해서 얻을 수 있었다. 두 발의 움직임에 맞춰 상반신을 좌우로 돌려가며 무게중심을 맞춰 주는 것이다. 걷기기능만 구현할 때는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타고 피부를 통과하기도 한다. 이때 약물은 흡수촉진제와 함께 이동한다. 약물에 따라
조금
씩 차이가 있지만 보통 흡수촉진제를 이용하면 흡수율을 25~35%까지 높일 수 있다.어떤 경우에는 약물이 흡수되는 속도를 늦춰야 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은 피부에 확산되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서 몇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조금
늦게, 표범보다는
조금
빨리 만들어진 호랑이 줄무늬의 비밀은 이제 현대 수학으로
조금
씩 밝혀지고 있다. 언젠가는 왜 하필 그 시기에 무늬가 만들어지는지도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2010년 호랑이의 해를 맞아 수학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호랑이의 줄무늬를 바라보는 계기가 됐길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석순처럼 자란 것일까. 만에 하나 그게 사실이라면 신비한 현상을 기대하는 사람에게는
조금
실망스러울 수 있겠다.그러나 마이산에서 거꾸로 자라는 역고드름은 그런 방식으로 형성된 것은 아니다. 그릇에 담겨 있는 물이 위로 솟아서 생겨난 고드름이다. 어째서 마이산에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한국인과 일본인, 중국인은 다른 민족과 비교했을 때 매우 닮았다”며 “연구마다
조금
씩 다르지만 한국인과 아프리카인의 차이를 100%라고 했을 때 중국인과의 차이는 5%, 일본인과는 4.2%에 불과하다. 반면 유럽인과는 58%나 차이 난다”고 말했다.한국과 일본, 중국은 전체 인류 안에서는 형제라고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거리를 지나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중 누구라도 기억나는 얼굴이 있는가. 아니면
조금
전 과학동아를 사기 위해 들른 서점에서 본 사람, 아니 계산해준 점원의 얼굴을 기억하는가. 우리는 분명히 그 얼굴을 봤고 머리 모양도 봤을 테지만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기억나는 것은 빨간 옷을 입은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집안이 낯설게 느껴졌다. 수만 년 수렵 생활을 하며 아웃백을 누빈 호주 원주민의 삶을
조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이튿날 아침 부족장과 아내는 190km 떨어진 깁강 도로까지 우리를 데려다 줬다. 보답으로 연료를 채워주고 원하는만큼 식료품을 사주겠다고 말했지만, 그들은 필요한 만큼만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보호하는 시베리아호랑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2005년 이후부터 그 수가
조금
씩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극동의 시베리아호랑이가 살고 있는 지역. ▲ 대원들이 호랑이에게 무선 전파 수신기를 달고 있다. ▲ 대원들이 수거한 올가미. ▲ 대원들이 호랑이의 신체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원을 삼각형이 둘러싸면 전체적으로 마름모 모양의 매듭도 만들 수 있고요. 그럼 매듭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매듭은 온몸에서 비례를 느낄 수 있어요. 매듭은 작품 하나를 만들 때 끈 하나로 만듭니다. 그래서 모양을 제대로 잡기 위해서는 전체 끈의 양과 길이를 정확히 알고 계산해야 하죠.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따라 달라지는 4차원 존재의 단면이라는 겁니다. 이대로는 이해하기가 어려우니 차원을
조금
낮춰 생각해 보지요.2차원의 세계에 사는 사람은 3차원의 존재를 어떻게 인식할 수 있을까요? 3차원의 물체인 구가 2차원의 세계를 지나간다고 생각해 봅시다. 2차원의 세계에 사는 사람은 오로지 평면만을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