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흐르지 않을 때만 공사가 가능했다. 발전소 위치도 처음 계획했던 지점보다 조류 특성은
조금
약하지만 진도대교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이런 우여곡절 때문에 2005년 4월에 시작한 공사가 지난 3월에나 마무리됐다.연간 1000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처음과 달리 역하다고 느껴진다. 처음에는 머리가 띵~하도록 냄새가 짙은 것 같아도
조금
만 시간이 지나면 무덤덤해진다. 말 그대로 후각의 감각은 개인에 따라, 상태에 따라 ‘그때그때 다르다’.이 변화무쌍하고 다루기 힘든 후각을 기계로 재현하겠다며 나선 국내 연구진이 있다. 그 주인공은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면역글로불린A(IgA), 면역글로불린D(IgD), 면역글로불린E(IgE) 등이 있는데, 아미노산 배열이
조금
씩 다른 가변부위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각각의 면역글로불린은 가변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항원에 대응해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T세포는 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 분자에 따라 킬러 T세포(killer T cell),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손을 들고 뱅그르르 도는 동작을 찍기로 결정! ➌ 장면 찍기 동작에 맞춰 캐릭터를
조금
씩 움직이며 계속 사진을 찍는다. 현서와 예린이는 5초 분량의 애니메이션을 위해 30장이나 사진을 찍었다. ➍ 소리 녹음하기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맞게 소리를 녹음한다. ➎ 완성 사진과 소리를 동영상으로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균형 감각훈련’장비에 탑승한 정희운(9) 양은 “단단히 조여 맨 끈 때문에 발목이
조금
아팠다”면서도“정말 신났다”고 밝은 웃음을 띠며 말했다. 비행 균형 감각훈련 장비는 탑승자가 속이 빈 동그란 공 안에 설치된 의자에 앉아 전후좌우를 가리지 않는 회전을 견디는 기구다. 행사장에 설치된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잘하는데, 이 과정에서 물 분자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이렇게 해서 중간권에 수증기가
조금
더 유입됐다고 해보자. 하지만 이곳은 수증기가 매우 희박하다. 사하라 사막 공기의 고작 1억 분의 1 정도만큼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 희박한 수증기가 먼지 입자에 붙어 구름이 형성되려면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걸~.달인 선생님의 수학 수업 1교시 마음을 읽는 숫자판 마술두근거리는 마음을
조금
진정하고 마술사선생님이 계시는 교실로 갔어. 마침 수학 시간이라 수학 마술을 준비하고 게셨어. 칠판 앞에는 마술을 도와 줄 미남도우미 정진이가 서 있었어. 숫자판 마술을 보여 주신다는데, 도대체 어떤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따라 잡을 수도 있겠지.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밤에 일찍 푹 자는 습관을 들여야 키가
조금
씩 크지 않겠니?”“그런데 애들은 성장판이 닫혀서 더 이상 크지 않을 거래요.”“성장판은 성호르몬이 나오기 시작하며 닫히기 시작해. 대개 사춘기와 2차 성징이 시작되는 시기가 비슷한데, 태연이는 아직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8월 이순신 장군 동상 주변으로 서울 광화문 광장이 개장했다. 처음에 광장은 차도보다
조금
높게 만들어졌을 뿐 별다른 안전시설이 없었다. 개장 다음날 택시가 광장 안으로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서울시는 높이 25cm짜리 ‘경계석’ 670개로 광장과 차도를 구분했다. 10월 중으로 높이 60cm짜리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가위바위보의 확률을 수학적으로 복잡하게 따져 봤지만 실제 경기를 하다 보면
조금
씩 다른 결과가 나오기 마련이다. 가위바위보를 잘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는 걸 보면 수학적인 확률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실제로 사람들은 바위를 많이 내는 경향이 있다. 일본 도쿄과학대 미츠이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