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따라 잡을 수도 있겠지.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밤에 일찍 푹 자는 습관을 들여야 키가
조금
씩 크지 않겠니?”“그런데 애들은 성장판이 닫혀서 더 이상 크지 않을 거래요.”“성장판은 성호르몬이 나오기 시작하며 닫히기 시작해. 대개 사춘기와 2차 성징이 시작되는 시기가 비슷한데, 태연이는 아직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병마개를 먼저 개발했다. 하지만 병마개를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조금
씩 부서지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병에 담긴 내용물에 대한 품질을 인정받기 힘든 것도 문제였다. 비싼 술을 담아 팔려고 해도 똑같은 병에 값싼 술을 담아 재활용한 병마개를 쓰면 둘을 구분하기 어려웠기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나가는 학문이다. 암기과목과 달리 한 가지만이라도 이해하고 있다면 거기서 시작해
조금
씩 전체로 확장해 나가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과연 나도 그렇게 할 수 있을까?"와 같은 의문이 드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수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수학에 소질이 없다고 생각하고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요령을 터득해야 한다.개인마다 얼굴 생김새가 다르듯이 뇌 속 신경회로의 배치가
조금
씩 달라 누구는 공간 지각력이 뛰어나고 누구는 말솜씨가 뛰어나다. 그런데 어떤 문자를 해독하려면 꼭 필요한 회로가 부실할 경우 난독증이 생긴다. 그렇다면 난독증인 사람의 뇌는 어떻게 다를까.글을 읽는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누르면 동시에 사진 2장이 찍힌다. 다만 렌즈 사이의 거리만큼 대상을 바라보는 각도가
조금
다른 사진이 얻어진다. 코앞에 검지손가락을 세우고 오른쪽 눈을 감고 보면 손가락이 오른쪽에 있고 왼쪽 눈을 감으면 왼쪽에 있듯이 카메라 정면 가운데 가까이 있는 물체는 왼쪽 렌즈에서 찍힌 사진에는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향피리와 음색을 비교하면 당피리가 좀 더 밝은 느낌을 준다. 두 악기는 지공의 위치도
조금
다르다. 향피리는 첫 번째 지공이 관대 아래쪽에 있지만 당피리는 두 번째 지공이 관대 아래쪽에 있다. 그런데 조선 초기 편찬된 역사서 ‘고려사’의 ‘악지(樂志)’편과 세종실록을 살펴보면 당피리의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8월 이순신 장군 동상 주변으로 서울 광화문 광장이 개장했다. 처음에 광장은 차도보다
조금
높게 만들어졌을 뿐 별다른 안전시설이 없었다. 개장 다음날 택시가 광장 안으로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서울시는 높이 25cm짜리 ‘경계석’ 670개로 광장과 차도를 구분했다. 10월 중으로 높이 60cm짜리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걸~.달인 선생님의 수학 수업 1교시 마음을 읽는 숫자판 마술두근거리는 마음을
조금
진정하고 마술사선생님이 계시는 교실로 갔어. 마침 수학 시간이라 수학 마술을 준비하고 게셨어. 칠판 앞에는 마술을 도와 줄 미남도우미 정진이가 서 있었어. 숫자판 마술을 보여 주신다는데, 도대체 어떤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관찰했다. 얕게 깔린 소금물에 반듯한 직육면체 모양을 한 소금 일부가 떠 있다. 소금을
조금
집어 힘을 줬더니 가루처럼 쉽게 으스러졌다. 맛은 어떨까. 윽! 짜다.“그렇게 우유 빛깔이 나고 잘 으깨지는 소금이 좋은 소금이여. 먹어 봐. 끝 맛이 달제.”언제 왔는지 소금장인이 불쑥 말을 건넨다.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 얼마 안 된 퇴적층이라는 사실이다. 이런 퇴적층 표면에는 균열이 생기기 쉬워 가스가
조금
만 압력을 받아도 쉽게 분출될 수 있다. 실제로 아제르바이잔 진흙화산지대에서는 해마다 2000만L의 가스가 분출된다.그랜드캐니언과 이구아수 폭포의 공통점물이 만든 장엄한 조각품으로 유명한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