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오늘 바로 절약의 고수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싶어 과일 가게에 갔어요. 먹음직한 복숭아가 4개에 3000원이라네요. 옆을 보니 크기는
조금
작은 데 7개를 특별할인이라며 3000원에 팔고 있어요. 큰 복숭아의 지름은 10cm고 작은 것은 8cm였어요. 크기는 큰 차이 없는데 3개나 더 주니까 훨씬 싸 보여요. 과연 어느 복숭아를 사는 것이 더 이익일까요?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능력으로 이어진다. 특히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에 친숙하지 않은 여학생들에게도
조금
만 관심을 기울여 보라고 충고했다. 안 부사장은 “보안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대학에서 전공으로 수학을 선택해라. 보안에 필요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그 후에 대학원에서 IT 분야를 공부해도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field) 빛인 소멸파가 있다. 문제는 소멸파의 세기가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조금
만 떨어져도 사라진다는 것.실제로 근접장의 소멸파를 이용해 가시광선으로 파장의 절반 이하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광학기기에 대한 이론은 이미 1928년 나왔고 1982년 스위스의 물리학자 디에테르 폴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다행히 예상보다 많이 건강을 되찾은 모습이었다. 처음엔 말을 연속해서 이어가기가
조금
힘겨운 듯 보였지만 ‘인지과학’이라는 단어가 나오자 점점 활기가 되살아났다. 평생 몸담아온 연구 분야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 바로 그 때문일 게다.“내비게이션이 나오기 전에는 운전자 머릿속에 어디로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론의 전문가인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트위터는 싸이월드나 마이스페이스보다
조금
더 개방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며“더 많은 정보가 더 빠르게 유통된다”고 지적했다.문장력에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140자 내외로 얘기를 주고받는 구조가 트위터의 폭발력을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있기 때문에 한 해 총 입학정원은 1020명이라고 볼 수 있다.평가방법은 각 전형마다
조금
씩 차이는 있지만 큰 틀에서 봤을 때 서류심사로 면접 대상자를 추린 뒤 심층면접으로 합격자를 가린다. 서류평가는 입학사정관이, 면접은 입학사정관과 면접위원으로 선정된 교수가 함께 평가한다 ... ...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놀라운 비법을 알려드릴 테니 따라와 보세요.비법의 핵심은 캔을 일렬로 세우지 말고
조금
씩 어긋나게 세우는 데 있어요. 캔 5개를 세우고 그 사이사이에 4개를 세우는 거죠. 또 그 사이에 5개. 이렇게 상자를 채우면 5개짜리 5줄과 4개짜리 4줄 총 41개(5×5+4×4)의 캔이 들어가요.캔 하나가 더 들어간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적어도 내가 말한 그대로 생각해……. 둘 다 똑같은 거잖아."모자 장수가 말했다."그건
조금
도 똑같지 않지! 그건 '나는 내가 먹는 것을 본다' 와 '나는 내가 보는 것을 먹는다'가 같다는 말이나 마찬가지야!"앨리스가 또 곤욕을 치르고 있군요. 애매하게 말을 했다고 모자 장수가 논리적으로 따지고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들린 도구라고는 납작하고 손바닥만 한 스테인리스 칼뿐. 그는 물컹한 밀가루 반죽은
조금
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듯 빠르고 깔끔하게 면을 깎아내 갔다. 이 면은 칼로 반죽을 도려내듯이 만든다고 해서 도삭면이라고 한다. 아름다운 면의 비행을 본 손님들의 마음은 벌써 요리에 대한 기대로 한껏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깔고 앉거나 던지기도 하는 휴대전화. 휴대전화는 24시간 다양한 위험에 노출돼 있는
조금
특별한 전자제품이다. 휴대전화의 내구성을 높이는 노력은 예전부터 있었다. 여러 가지 충격 실험들이 그 예다.떨어뜨리는 방향을 바꿔가면서 어느 부분이 파손되는지 관찰하고, 높은곳에서 한 번 떨어뜨리는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