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재료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있어요. 자를 들고 A4 용지의 크기를 재보면 너비 210mm에 길이 297mm라는 걸 알 수 있어요.
조금
씩만 조절해 200mm×300mm로 만들면 알아보기 쉬울 텐데 왜 그랬을까요? 그렇다고 보기에 아름답다는 황금비도 아니군요. 황금비는 가로세로의 비율이 1 대 1.618인데, A4는 1 대 1.414이니까요. 대체 A4 용지 크기엔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직접 셈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은 숫자 0 덕택이다. 오늘 이후, 숫자 0이
조금
은 새로워 보일 것이다.불편함을 해결한 인도인의 지혜인도인들이 ‘0’을 발견하게 된 계기는 자릿값 기수법의 필요성을 인식한 뒤부터다. 인도인들이 자릿값 기수법을 생각해 내는 데는 수를 읽는 방법이 ... ...
수학, 보안에 날개를 달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능력으로 이어진다. 특히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에 친숙하지 않은 여학생들에게도
조금
만 관심을 기울여 보라고 충고했다. 안 부사장은 “보안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대학에서 전공으로 수학을 선택해라. 보안에 필요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그 후에 대학원에서 IT 분야를 공부해도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field) 빛인 소멸파가 있다. 문제는 소멸파의 세기가 거리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조금
만 떨어져도 사라진다는 것.실제로 근접장의 소멸파를 이용해 가시광선으로 파장의 절반 이하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광학기기에 대한 이론은 이미 1928년 나왔고 1982년 스위스의 물리학자 디에테르 폴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다행히 예상보다 많이 건강을 되찾은 모습이었다. 처음엔 말을 연속해서 이어가기가
조금
힘겨운 듯 보였지만 ‘인지과학’이라는 단어가 나오자 점점 활기가 되살아났다. 평생 몸담아온 연구 분야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 바로 그 때문일 게다.“내비게이션이 나오기 전에는 운전자 머릿속에 어디로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론의 전문가인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트위터는 싸이월드나 마이스페이스보다
조금
더 개방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며“더 많은 정보가 더 빠르게 유통된다”고 지적했다.문장력에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140자 내외로 얘기를 주고받는 구조가 트위터의 폭발력을 ... ...
독해력 향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인식된 것이다. 명시점에 들어온 글자는 선명하기 때문에 바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여길
조금
만 벗어나도 선명도가 50% 이하로 떨어져 대략적인 형태만 파악된다.안구운동을 통해 쓰지 않던 눈 근육을 사용하는 훈련을 하면 명시점이 좀 더 확장될 수 있다는 주장이 최근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 ...
승자의 저주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왜냐하면 첫째 가격 경매의 경우 최고가로 낙찰되지만 적어내는 값이 생각하는 가치보다
조금
낮아 둘째 가격 경매에서 낙찰자가 지불하는 가격과 같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수학적인 해석이다. 종종 불합리한 판단을 내리는 사람이 하는 일인 실제 경매에서는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한여름인데도 30℃ 가까이 된다. 생후 첫 주에는 32℃로 유지하기도 했다. 앞으로 온도를
조금
씩 더 낮출 예정이다.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면서 그만큼 외부 온도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2시간 이상 일하면 현기증지노와 지노2가 사는 인큐베이터가 있는 공간을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두를 필요도 없다. 와프리팀은 이번 대회에서 사슴벌레를 과자처럼 요리해 풍미를
조금
더 높였다.“시중에서 파는 비스킷과 비슷한 맛이 납니다. 단순히 영양을 섭취하기 위한 음식이 아니라 맛도 있다는 거죠.” 사육 장비 설계와 제작을 주로 맡은 김기범 씨는 식량으로서 사슴벌레의 가치가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