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
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행성의
최초
이미지일 확률이 매우 높은 사진이 지난 9월 10일 공개됐다.유럽남천천문대(ESO)는 지구에서 약2백30광년 떨어진 곳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있는 갈색 왜성(사진 가운데) 옆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붉은 빛의 천체(사진 왼쪽아래)를 포착했다. 칠레 북쪽 체로 파라날에 위치한 직경 8.2m인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아니라 조종사의 조종성도 좋아져 조종훈련용으로 적합하다. 특히 동급 항공기로는 세계
최초
의 전진익기였다.또 전체 구조물에 순수 국산 항공용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무게와 공기저항을 감소시켰다.때문에 해외시장 진출의 꿈도 컸다. 50시간 정도의 비행성능시험을 거쳐 해외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초전도 핵융합 실험로다. 크기가 ITER의 1/3정도로, ITER처럼 전부 초전도체 전자석을 세계
최초
로 사용한다. 세계 유일의 중형급 초전도 핵융합 장치로서 ITER의 축소판인 것이다. 그래서 K스타는 ITER의 예비무대가 될 전망이다. K스타는 2007년 8월 준공 예정이다.2050의 또다른 꿈 우주태양광만약 핵융합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접목해 두가지 성질을 가진 새로운 물질을 만들고 싶다고 한다.실제로 최근 세계
최초
로 초분자에 실버나노입자가 들어 있는 물질을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은 초분자에 나노입자가 들어 있을 뿐, 그가 생각하고 있는 초분자-나노 물질은 아니다.초분자-나노 물질은 초분자의 성질과 나노입자의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대장균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페니실린이라는 대표적인 항생제를 얻을 수 있다. 영국 의학자 플레밍이 발견한
최초
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은 ‘실수로 발견됐다’ 는 일화로 유명하다.원래 플레밍은 폐렴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연구하고 있었다. 어느날 플레밍이 실험실에 와보니 배양 중이던 미생물이 모두 사라져버리고 대신 ... ...
만약 전선이 모두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장점 때문에 1866년 독일의 지멘스가
최초
로 전자석을 사용한 발전기를 만든 이후, 전기에 대한 수요가 해마다 급증해 오늘날과 같은 정보통신사회를 맞이한 것이다.산소만큼이나 흔하게 퍼져있는 전선 덕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분명 많아졌다.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1901년에 필로티와 슈베린이 포르피렉시드(II)를
최초
로 얻었는데, 이것은
최초
로 단리된 유기 유리기이다 합성고무의 하나로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의 혼성중합체 최대 특징은 내유성이 우수한 점이고, 고(高)니트릴고무는 개스킷 · 연료호스 · 링 · 오일실 등, 중고 니트릴고무는 오일실 ·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잡혀 달이 됐다는 ‘포획설’이 그것이다.이런 상황에서 1969년 7월 16일 아폴로 11호가
최초
의 인류 달 착륙을 목표로 우주에 발사됐다. 결과는 성공. 아폴로 11호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과 에드윈 알드린은 달 표면에서 2시간을 머물며 암석과 토양 샘플을 채취하고 사진을 찍었다. 암스트롱의 ... ...
실시간 수족관 e-Quarium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대상 과학정보 통합 사이트다. 이 사이트는 과학기술 분야 연구자들을 위해 설립한 국내
최초
디지털 도서관인 LG상남도서관이 운영한다.키워드를 이용한 검색 외에도 주제와 분야에 따라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이 좋아하는 스포츠에 숨겨진 과학적 사실을 소개하는 스포츠와 과학,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불구하고 젊은 과학자들의 블랙홀 연구는 계속됐다. 1939년 9월 1일 ‘피지컬 리뷰’ 지에
최초
로 블랙홀의 생성과정을 밝혀주는 논문이 발표됐다. 저자는 이후 맨해튼 프로젝트의 책임자로 더 유명해진 35세의 미국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였다. 그는 제자 하트랜드 스나이더와 함께 ‘연속적인 ... ...
이전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