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바코드 국내 연구진 최초 개발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바코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서울대 화학부 최진호 교수팀은 ‘나노 DNA 바코드 시스템’ 을 개발했다고 8월 11일 발표했다.DNA 바코드는 나노(${10}^{-9}$) 단위의 DNA를 이용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아 육류나 채소처럼 기존 바코드를 부착하기 힘든 상품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 ...
- 여자 양궁 선수의 첨단 장비과학동아 l2004년 09호
- 통틀어 말한다1833년에 프랑스의 페앵과 프뤼소가 맥아(麥芽)에서 추출한 역사상 최초의 효소제품이다 아닐린에 염화벤젠디아조늄을 작용시키면 생성되는 화합물 1,3-디페닐트리아젠이라고도 한다녹는점 99~100℃의 담황색 결정으로 산에 의해 전위하여 4-아미노아조벤젠이 생성된다녹는점 이상으로 ...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과학동아 l2004년 09호
- 처음이 아니었다. 기원전 3세기에서 기원전 1세기에 중국의 전한시대에 천문벽화가 최초로 등장했고 이후 후한대로 이어졌다. 고구려가 동아시아 문명발생지인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건 분명한 사실인 것이다.하지만 고구려는 중국보다 더 번성했다. 4-7세기의 고구려 천문벽화가 24기인 반면, ...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뒤로 분출되는 연소가스의 반작용으로 앞으로 날아가게 만든 강력한 무기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로켓인 고려 말 최무선의 ‘주화’ 역시 비슷한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다. 만약 배낭로켓을 탄 사람이 기계고장으로 갑자기 추락하거나 출발할 때 연소가 불량해 엉뚱한 곳으로 발사된다면, 그 안에 탄 ...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다른 나라에 뒤지지 않는 기반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저력을 갖고 있다.일본은 1974년 최초 입체 실험 프로그램 방송을 시작한 이래, NHK, NTT 등을 중심으로 입체TV 방송기술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됐다. 그 결과 입체영상의 획득, 저장, 압축전송 및 복원의 핵심기술을 확보한 상황이다. 현재 여러 ...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과학동아 l2004년 08호
- 이목을 별로 끌지 못했다.그래서 이론가인 베넷 박사가 직접 나섰다. 그리고 1989년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 실험을 성공시켰다. 그러나 이것 역시도 기존의 암호전문가들에게는 그렇게 깊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 기존의 공개키 암호기술이 워낙 든든해 보였기 때문이다.현재 인터넷에서 널리 쓰이고 ... ...
- 바다, 끝없는 프론티어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달에 처음 발을 디뎠을 때도 아마 같은 기분이었을 겁니다.” 한국인 최초로 해저 5천m에 다녀온 김웅서 박사의 소감이다. 우리 기술로 개발한 심해 무인잠수정과 바다목장도 선보일 예정이다. 인류의 마지막 프론티어인 바다를 미래 삶의 터전으로 개발하기 위해 땀흘리고 있는 우리나라 ...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과학동아 l2004년 08호
- 있는 것이 좋다. 사람에 따라 귀가 멍멍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한국 과학자로서 최초로 태평양 심해저 5천m가 넘는 곳을 다녀왔다는 기록을 세워 기뻤지만, 마음 한구석에는 우리나라의 유인잠수정을 타고 연구를 하게 되면 더 좋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이번 심해저 탐사는 프랑스와 ...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과학동아 l2004년 08호
-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는 나라들이다. 네덜란드는 1973년 위트레히트대에서 세계 최초로 과학상점이 시작된 과학상점의 본고장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대학 교수들과 학생들이 환경, 핵무기, 주택 등 거의 모든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등을 자발적으로 논의했다. 특히 대학 내에 ... ...
- 가장 뜨거운 백색왜성 발견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부근에 있는 별 H1504+65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고온의 백색왜성이며 헬륨을 갖지 않는 최초의 경우라고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7월호에 보고했다.백색왜성은 태양같은 별이 수명을 다한 뒤 폭발하고 내부 중심만 남은 별이다. 백색왜성은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하지 않고 서서히 식다가 결국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