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계란에 유전자 주입, 형광닭 생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21일만에 부리, 머리 등 여러 부위에서 형광을 내는 ‘형질전환 닭’ 을 생산하는데 세계
최초
로 성공했다”고 밝혔다.김 교수는 “계란은 부화하는데 21일밖에 걸리지 않고 부화된 병아리는 6개월만에 다시 알을 낳을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유전자 주입 기술을 활용하면 계란에서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종 이상이 기재되었으며 병원성(病原性)의 것만도 8종이나 된다 미국 해군이 건조한 세계
최초
의 원자력 잠수함 1952년 6월 기공하여 54년 1월에 진수하고 9월에 완성, 동년 12월 30일에 원자력에 의한 역사적인 항행을 개시했다58년 7월 28일 진주만을 출항하여 8월에는 극점(極點)에 도달, 북극해 잠항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1993년 한국해양연구원이 해저탐사를 위해 3백m급 무인잠수정 씨로브 300을 개발한 것이
최초
다. 6천m급 무인잠수정을 개발하기까지 10년 이상 걸린 셈이다. 왜 이렇게 긴 시간이 필요했을까.지구의 71%가 바다고, 이 중 60% 이상은 1천5백m가 넘는 심해다. 육지에서 가장 높은 8천8백48m의 에베레스트산도 ... ...
(주)코캄엔지니어링 대표 홍지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밀도가 30% 가량 높고, 용량도 1백배 이상 되는 새로운 방식의 리튬이온폴리머전지를 세계
최초
로 상용화시켰다.1997년 개발에 뛰어든 후 4년 만의 성과였다. 그의 뚝심과 고집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리튬이온폴리머전지가 성공하면 이육사의 청포도에서처럼 백마를 타고 만주벌판을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원자폭탄의 구름 사진을 촬영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어쨌든 1945년 7월 16일 세계
최초
로 원자폭탄 실험은 성공했다. 뛰어난 과학자들과 무한정의 예산 지원에 요행까지 결합된 ‘삼위일체’가 이뤄졌기에 가능한 일이었다.하지만 맨해튼 계획은 마지막까지 잡음이 많았다. 원자폭탄 개발이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답은 토성관측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 아름다운 고리는 망원경이 발명된 1609년경에야
최초
로 관측됐다. 갈릴레오가 자신이 만든 조잡한 망원경으로 토성을 본 것이다. 그렇지만 갈릴레오는 토성에서 고리를 구분해내지 못했다.그의 눈에는 고리가 토성에 거의 붙어있는 또다른 위성쯤으로 보인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문더스트’ (Moondust)라는 이름으로 시판돼 많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았다. 문더스트는
최초
로 상업화된 유전자변형 꽃이다.“페튜니아의 블루 진이 왜 장미에서는 활성이 없는지는 모릅니다. 꽃잎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작용이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죠. 아무튼 우리는 다른 꽃들에서 블루 진을 ... ...
거미줄에 걸린 새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국내에서 거미줄에 잡힌 새의 진기한 사진이 최근 공개됐다. 사진은 산왕거미의 거미줄에 몸통이 달걀만한 새가 걸린 장면으로 농업과학기술원 유용곤충과 이영보 박사가 1999년 7월 경기도 여주에서 찍은 것이다. 산왕거미는 산이나 민가 주변에 많이 서식하는 종류다. 이 박사는 “동남아 지역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기체의 성질을 논하는 이론 기체운동론이라고도 한다원자론 입장의 물성론으로서
최초
의 것이다 기체상에서 결정(結晶)을 성장시키는 방법 승화법(昇華法)과 기체상 반응법이 있다기체상 반응법에서는 반응성 혼합기체나 고온에서 열분해하기 쉬운 기체를 촉매나 바탕결정 등을 겸한 기판(基板)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점은 코스모피디아의 무한한 저력을 실감케 하고 있다.인터넷이 몰고 온 지식혁명
최초
의 백과사전은 플라톤의 조카 스페우시푸스가 삼촌의 사상을 여러권의 책으로 묶은 것이 시초였다. 기존 지식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해 많은 사람들이 지식에 쉽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한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