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노"(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
- 英 변이 바이러스 어떻게 찾아냈나…유전체 염기 3만 개 해독동아사이언스 l2020.12.28
- 떨어진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이론적으로 100만 개 염기를 한 번에 읽어낼 수 있는 나노포어 시퀀싱 기술처럼 NGS를 보완하는 유전체 해독 기술도 등장했다. ... ...
-
- 소변속 단백질 AI로 분석해 전립선암 잡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20.12.24
- 이관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왼쪽)과 김호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이 인공지능분석법을 도입한 초고감도 스마트 바이오센서를 활용해 환자의 소변샘플 ...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9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에 발표했다 ... ...
-
- 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역시나 코로나19 연구에 집중동아사이언스 l2020.12.23
- 임미희 KAIST 화학과 교수팀의 연구도 선정됐다. 3차원 간 칩을 이용해 암 전이 과정에서 나노소포체의 역할을 규명한 조윤경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의 연구와 세계에서 가장 농도가 높은 글루타르산을 만들어내는 미생물 균주를 개발한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백신, mRNA 의약품 시대를 열다2020.12.23
- 백신보다 모더나 백신을 기술적으로 높이 평가하는 것도 이 부분이다. 모더나의 지질나노입자가 mRNA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더 뛰어나기 때문에 영하 20도에서는 4개월, 2~8도에서는 한 달을 버틸 수 있다. 반면 화이자 백신은 영하 70에서 다뤄야 한다. 우리나라가 파이자 백신 계약을 하지 않았다는 ... ...
-
- 전문가들 화이자·모더나 백신 부작용 원인으로 PEG 성분 지목동아사이언스 l2020.12.22
- 당시 백신에 포함되는 PEG 화합물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검토했다”며 “적은 양의 지질 나노입자와 근육 내 백신 투여를 감안할 때 위험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모든 백신에는 약간의 위험성이 따르면 현재 상황에서는 백신의 이점이 위험보다 더 크다”고 덧붙였다 ... ...
-
- IBS 2개 연구단 문 닫는다…김빛내리·김은준·현택환 교수 연구단 세계 최고 평가동아사이언스 l2020.12.18
- 종료하고 1개 연구단은 일부 그룹 종료, 1개 연구단은 후임 단장을 선발할 예정이다. 나노물질및화학반응연구단(단장 유룡 KAIST 교수),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단장 김기문 포스텍 교수) 등 2개 연구단은 2년의 정리 기간을 거쳐 종료된다. 인지및사회성연구단(단장 신희섭·이창준)의 경우 신희섭 ... ...
-
- [랩큐멘터리]머리카락 수십만 분의 1 크기의 나노용기가 세상에 기여하는 방식동아사이언스 l2020.12.17
- 나노 공간이라는 도구로 각자의 개성을 담은 그림을 그리고 있다. 포스텍 나노스케일 공간한정 화학반응 연구단 보기 https://youtu.be/7nMHt_tlous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 ...
-
- [랩큐멘터리]아주 짧은 시간 누구도 본적 없는 현상 포착동아사이언스 l2020.12.15
- 연구실은 금 나노 입자가 빠르게 녹거나 물질의 상이 변하는 과정에서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연구하고 있다. 분자 세계에서 새로운 현상을 찾아 헤매듯 초고속 회절 및 이미징 연구실의 모토는 ‘내가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스스로 찾고 개척하는 것’이다 ... ...
-
- 막대한 에너지 투입해 생산하던 암모니아, 쇠구슬 굴려서 만든다2020.12.15
- 힘으로 반응을 일으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이달 14일 공개했다. 암모니아는 비료, 폭발물, 플라스틱, 의약품 등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매년 약 1억 4000만t이 생산되는데 최근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물질로 주목받아 ... ...
-
- [소재의 미래]⑷ 韓, 1등으로 만든 그래핀 산화물 원천기술동아사이언스 l2020.12.09
-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에 뿌듯했다”고 말했다. 김상욱 KAIST 교수가 이끄는 연성나노물질연구실 실험실에서 석박사과정 연구원들과 한자리에 모였다. 2004년 김 교수가 연구실을 운영한 이후 국내 특허는 78개, 국제 특허는 24개를 출원했다. 남윤중 제공 ○ "핵심소재 산업으로 육성해야" 현재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