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스페셜
"
나노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구매 협상 중인 노바백스 백신, 미국·멕시코서 임상 3상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유전물질을 이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직접 생성한한다. 여기에 면역증가제를 섞어
나노
입자 형태로 체내에 투입해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노바백스 백신은 최근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접종자에게 나타난 알레르기 부작용의 원인으로 지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성분이 없고 ... ...
ISS는 과학논문 제조공장…1년새 쏟아진 논문만 300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만드는 세포인 조골세포 형성을 촉진하고 골 접착력을 높이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나노
입자 속 칼슘(Ca) 이온을 스트론튬(Sr) 이온으로 바꾸면 효능이 더 높다는 사실을 미세 중력 실험을 통해 알아냈다. 가이 트루델 미국 캐나다 오타와대 생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우주에 다녀온 ... ...
올해의 10대 과학뉴스에 한국산 진단키트·세계 첫 코로나19 유전자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성과들로 꼽혔다. 삼성전자가 극자외선(EUV) 다중패턴 양산 기술을 적용해 3세대 10
나노
급 D램 개발에 성공한 연구는 세계 최소 셀 사이즈 한계를 극복한 기술로 평가받는다. 현대차는 총중량 34t급 대형 카고 수소전기 대형트럭을 처음으로 양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스위스 수출에도 성공했다. ... ...
코로나19로 힘들던 올해 한국의 기초과학 이들 덕분에 빛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물리학과 교수와 신현석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교수, 김종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선임연구원이 선정됐다. 박 교수는 극한의 좁은 공간에서 새로운 색으로 바뀌는 빛의 성질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신 교수는 반도체 미세공정 한계를 ... ...
英 변이 바이러스 어떻게 찾아냈나…유전체 염기 3만 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떨어진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이론적으로 100만 개 염기를 한 번에 읽어낼 수 있는
나노
포어 시퀀싱 기술처럼 NGS를 보완하는 유전체 해독 기술도 등장했다. ... ...
소변속 단백질 AI로 분석해 전립선암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이관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왼쪽)과 김호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이 인공지능분석법을 도입한 초고감도 스마트 바이오센서를 활용해 환자의 소변샘플 ...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9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
’에 발표했다 ... ...
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역시나 코로나19 연구에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임미희 KAIST 화학과 교수팀의 연구도 선정됐다. 3차원 간 칩을 이용해 암 전이 과정에서
나노
소포체의 역할을 규명한 조윤경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의 연구와 세계에서 가장 농도가 높은 글루타르산을 만들어내는 미생물 균주를 개발한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백신, mRNA 의약품 시대를 열다
2020.12.23
백신보다 모더나 백신을 기술적으로 높이 평가하는 것도 이 부분이다. 모더나의 지질
나노
입자가 mRNA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더 뛰어나기 때문에 영하 20도에서는 4개월, 2~8도에서는 한 달을 버틸 수 있다. 반면 화이자 백신은 영하 70에서 다뤄야 한다. 우리나라가 파이자 백신 계약을 하지 않았다는 ... ...
전문가들 화이자·모더나 백신 부작용 원인으로 PEG 성분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당시 백신에 포함되는 PEG 화합물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 검토했다”며 “적은 양의 지질
나노
입자와 근육 내 백신 투여를 감안할 때 위험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모든 백신에는 약간의 위험성이 따르면 현재 상황에서는 백신의 이점이 위험보다 더 크다”고 덧붙였다 ... ...
IBS 2개 연구단 문 닫는다…김빛내리·김은준·현택환 교수 연구단 세계 최고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2.18
종료하고 1개 연구단은 일부 그룹 종료, 1개 연구단은 후임 단장을 선발할 예정이다.
나노
물질및화학반응연구단(단장 유룡 KAIST 교수),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단장 김기문 포스텍 교수) 등 2개 연구단은 2년의 정리 기간을 거쳐 종료된다. 인지및사회성연구단(단장 신희섭·이창준)의 경우 신희섭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