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미라’, 취재노트 속에서 새로 태어나다
2014.12.28
책에는 조선 시대 미라가 보존될 수 있는 비밀도 담겼다. 뜨거운 횟가루를 이용한
열
소독과 공기차단이 바로 그것이다. 이밖에 중국 마왕퇴 미라와 이탈리아 알프스에서 발견된 외치 등 세계의 다양한 미라 이야기도 볼 수 있다. ... ...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오늘밤 제일 바쁜 산타 썰매의 비밀
2014.12.24
주머니 안쪽에는 강력한 전자기장 발생장치를 넣어서 탄소가
열
역학법칙을 거슬러 배
열
되도록 만든다. 그러면 산타클로스가 집을 방문할 때 통과하는 굴뚝에서 탄소를 모아 원하는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선물을 줄 ‘착한 어린이’는 어떻게 선정할까? 실버버그 교수는 착한 어린이를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뿌리면 어는점이 내려가면서 얼음이 녹는데, 이때
열
이 필요합니다. 얼음은 필요한
열
을 탄산음료에서 빼앗기 때문에 그 대신 탄산음료가 얼어 슬러시처럼 되는 것입니다. ○ 상고대를 보러 가요. 우리나라에서 상고대를 볼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요? 가장 유명한 곳은 소백산과 덕유산입니다. 충북 ... ...
불량 실리콘 웨이퍼가 나노분말로 환골탈태(換骨奪胎)
2014.12.17
웨이퍼, 금속 조각 등 반도체나 태양전지를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을 플라스마의 높은
열
로 녹여 증발시켰다. 그리고 증발 물질을 다시 급속 냉각시켜 나노분말을 만들었다. 이 나노분말은 휴대전화 배터리나 전기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금속배선과 연마제 등의 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 ... ...
항공기 만들던 기술로 국산 자동차 부품 만들었다
2014.12.10
성형하기 위해 개발된 ‘초소성 성형기술’을 개발했다. 항공기 제트엔진에서 발생한
열
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타이타늄 판재 부품을 국산화하면서 확보한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자동차 개발에 응용하고, 자동차 부품 중 차체와 바퀴 사이에 위치해 차량의 흔들림을 ... ...
100억 원 지원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신규 과제 선정
2014.12.10
불편함이 없는 인공피부 센서를 구현해 인체 피부로 드러나는 다양한 인체정보 미세체
열
변화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피부질환, 통증 아토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예정이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스마트폰 기반으로 여드름 같은 ... ...
신기하네~
열
전달하는 플라스틱
2014.12.07
실제로
열
을 10배나 잘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아직 금속이
열
을 전달하는 능력의 10분의 1에 불과하지만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는 해법을 찾은 만큼 추가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지난달 24일자에 실렸다.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강도는 일반 타이타늄의 강도보다 2배 높았다. 이는 타이타늄 합금과 비슷한 수준이다.
열
전달 효율 역시 일반 타이타늄보다 30% 이상 향상됐다. 또 순수 타이타늄을 이용한 만큼 이를 만든 부품을 회수해 재활용하기도 쉽다. 박 박사는 “이번 연구로 우수한 성능의 타이타늄 소재를 싸게 공급할 ... ...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전자통신 분야에서 최고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현대전자(現 SK하이닉스)를 거치며 소프트웨어 개발 책임연구원으로 종사했고, 무선랜 관련 연구를 통해 ... 꿈이다. 그녀가 바라는 대로 “과학과 예술이 소통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해 융합의 새 장을
열
수 있길 기대한다.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생각해봐야 한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신체적 고통 실험으로 피험자의 손목에
열
자극을 줘 통증을 느끼게 했고 정신적 고통은 자신을 차버리고 떠난 옛 애인 사진을 보게 했다. 설문결과 피험자들은 예상대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그 수준은 비슷했다. 이것만 보면 뇌가 정말 신체적인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