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33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속성형 세계 최고 석학 타일란 알탄 교수
2014.10.22
모양으로 만드는 판금성형과 상온에서 금형을 제작하는 냉간 단조, 고온에서 만드는
열
간 단조는 물론 금속채색 또한 그의 연구분야다. 금속산업과 관련한 여러 학회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는 한국기계연구원이 24일 개최하는 ‘2014 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에서 ‘차세대 제조기술’ ... ...
2급 두뇌와 1급 수행능력
동아사이언스
l
2014.10.17
참석한 강미아 교수(뒷줄 왼쪽에서
열
번째) - 강미아 교수 제공 교육학 석사와 작가
열
심히 달려온 그녀에게 이정도면 10km를 완주한 것이 아니냐고 물었다. 그러나 아직 더 달려야 하고 달리고 싶다고 한다. 지금까지 혼자 달린 것이라면, 앞으로는 미래의 환경을 짊어질 청춘들과 함께 달리고 싶다고 ... ...
전자회로 끊어지면 레이저 포인터로 딱 2분만!
2014.10.15
이 교수는 “자기회복 전기회로기술은 기존에도 연구되고 있었지만 높은
열
이 필요해 특수장비가 필요하고 해로운 화학약품 등을 써야 했다”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전기회로를 개발한 것은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보내는 똑똑한 배터리가 나왔다. 이 퀴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과
열
됐을 때 위험신호를 내보내는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3일자에 발표했다. 리튬이온전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쓰이고 있지만 2006년 일본 소니가 생산한 노트북 전지에 불이 붙는 ... ...
구리+아연+주석=친환경 박막 태양전지
2014.10.14
원료 분말을 큰 구슬과 함께 섞어 통에 넣은 뒤 회전시켜 섞어주면 그 안에서 발생하는
열
때문에 화학반응이 저절로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전까지는 필수였던 유독성 화학용매가 필요 없어졌을 뿐 아니라 온도를 높여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연구팀은 ... ...
쌀밥, 김치 누르고 커피가 1등한 까닭
2014.10.12
향이 별로 없고 로스팅을 통해 비로소 좋은 향이 만들어진다. 생두를 고르고, 높은
열
로 볶아내면서 커피에 향을 곁들이는 것이다. 향을 주제로 한 완벽한 커피 분석을 추구한 이 책 앞에서 어떤 커피책이 ‘내 것이 더 수준이 높다’고 자랑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읽다 보면 다양한 화학적, 식품학적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추억이 떠오른다. 스발바르드섬은 백야 중이었는데, 그래서인지 다들 밤이 깊도록
열
띤 토론이 식을 줄 몰랐던 일이 불과 얼마 전의 일처럼 떠오른다. 그 때, 그 장소에 함께 있었던 과학자들 중 3명이 이번에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사실이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의 한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미국 코네티컷주의 한 지역에서 사과씨를 모았는데 1804년 이를 심어 자란 나무에서
열
린 사과가 독특한 풍미를 지녀 이를 남편의 이름을 붙여 조나단이라고 불렀다는 것. 즉 홍옥은 자연적으로 나온 품종인 셈이다. 19세기 조나단이 일본으로 건너가 홍옥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20세기 초 한반도로 ... ...
더 튼튼하고 더 친환경적인 시멘트 나왔다
2014.09.29
석회석처럼 칼슘이 많은 물질과 점토처럼 규소염이 풍부한 물질을 섞은 다음 1500도의
열
을 가해 만들어진 덩어리를 가루 내어 만든다. 고온으로 처리하는 이유는 석회석에서 탄산염을 빼내기 위해서다. 이 과정과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니 온실가스 역시 대량으로 발생한다. 연구진은 칼슘과 ... ...
물에 햇빛 쪼였을 뿐인데 수소가 펑펑
2014.09.16
수명이 너무 짧아 반응효율이 낮다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금 입자에 나노소재를 붙여
열
전자의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촉매는 금 나노입자만 사용했을 때보다 74배 많은 양의 수소를 생산했다. 이 교수는 “새로운 촉매를 이용하면 물에서 수소 대신 전기에너지도 직접 얻을 수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