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33건 검색되었습니다.
탱크와 헬기 싣고 적진 돌격… 한국형 새 ‘상륙함’ 취역
동아사이언스
l
2014.11.30
있다. 적의 미사일 공격이 있을 경우 주위에 연막을 피워 배의 모습을 완전히 감춰준다.
열
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적외선 미사일까지 회피할 수 있다. 4대의 요격용 미사일 ‘해궁’ 발사대를 싣고 있어 적의 유도미사일 공격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모인다. 다만 개발 완료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으로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과학동아
l
2014.11.25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하겠다는 것이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일반 PC와 하나부터
열
까지 다르다. PC는 하드웨어가 통일돼 있지만, 임베디드 시스템은 하드웨어마다 매번 운영 체제를 새로 이식해야 한다. 설계철학도 다르다. 항상 전원을 공급받는 PC와 달리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는 임베디드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걷는 정도의 활동만으로도 꽤 많은 칼로리가 들어가는데, 레바인은 이를 ‘비운동성활동
열
생성(nonexercise activity thermogenesis)’, 줄여서 니트(NEAT)라고 명명했다. 앉아있는 시간이 길수록 니트가 줄어든다고. 레바인 교수는 “오랫동안 앉아 있는 게 나쁜 이유는 우리 몸이 게으른 자세에 맞게 ... ...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광자는 태양전지판에 흡수되지 못한 채 투과되고, 에너지가 높은 광자는 흡수되더라도
열
에너지로 낭비되기 때문. 연구진은 흡수하는 파장의 영역이 다른 두 개 이상의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쌓아올려 만드는 탠덤 태양전지에 주목했다. 하지만 탠덤 태양전지도 갈륨이나 비소 같은 비싼 무기물을 ... ...
[채널A] 뜨거운 기름에 물, 직접 실험해 보니…‘화염방사기’ 변신
채널A
l
2014.11.19
솟구치면서 화염방사기처럼 높게 불이 커지면서 화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물은 가
열
하면 수증기가 돼 부피가 최고 2000배까지 커지기 때문에 아주 적은 물이라도 끓는 기름과 만나면 큰 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실제 숯불 화로를 이용할 때는 기름에 재와 같은 불순물이 들어있기 때문에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무기질 소재를 합성했다. 연구진은 600도의 고온에서 실리카와 티타늄은 그대로 남고,
열
경화성수지 등의 고분자 물질이 녹으면서 기공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용했다. 그동안 이 소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기공을 만들기 위한 주형을 이용해 왔는데, 이 방법을 썼을 때 보다 공정이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휘어도 효율을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나 기계적 우수성도 확인됐다. 정 교수는 “
열
처리 없이도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차세대 태양전지의 입지를 굳히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에너지와 ... ...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
2014.11.12
- 전상범 교수팀 제공 금 나노막대로 이뤄진 나노 히터는 적외선 파장의 빛을 흡수해
열
을 내는 특성이 뛰어나다. 연구진이 쥐의 하체 운동에 관여하는 말초신경계에 나노막대를 주입하고 적외선 빛을 쪼였더니 신경 신호의 크기가 5배 이상 커졌다. 신경이 작은 신호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 ...
피부 감염 우려 줄인 신개념 부항기 나왔다
2014.11.12
디자인에서 착안해 밀폐형 일회용 부항기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부항은
열
이나 압력을 이용해 해당 부위에 막힌 혈을 뚫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한의학의 치료 기법 중 하나다. 문제는 기존 부항으로 피를 뽑을 때 부항컵이나 흡입기가 피에 오염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었다. 세척·살균 과정을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빠진 생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열
영상지도. 정상생쥐(왼쪽)는 물 위에 떠 있는 검은 동그라미(섬)을 잘 찾았지만, 누난증후군 유전자를 지닌 돌연변이 생쥐는 엉뚱한 위치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 중앙대 제공 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희귀난치성 질환에 걸리면 나타나는 학습장애를 치료할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