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결
너울
웨이브
파랑
바다
wave
파동
d라이브러리
"
파도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생기는 원리와
파도
의 움직임을 배운 뒤에는 직접 측정 기구를 가지고 바다로 가서
파도
의 높이와 속도를 측정한다.바닷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플랑크톤과 같은 해양생물을 공부할 수 있다. 바닷물의 풍화와 침식현상에 대한 강의는 바닷가의 울퉁불퉁한 바위 위에 서서 듣는다. 갯벌 생태계를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산호로 몰려든다. 또 산호는 자연방파제 역할을 한다. 태풍이나 쓰나미로 몰려드는 큰
파도
를 막아 육지를 보호하는 것이다. 2004년 인도네시아 쓰나미 때 인도양에 인접한 나라들은 대부분 큰 피해를 입었지만 산호초가 잘 보존된 몰디브는 피해가 적었다. 산호초가 쓰나미의 위력을 줄였기 때문이다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헬리콥터 이·착륙장 등이 있어요.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한 수온, 염분,
파도
의 최고 높이, 바닷물 속도 등의 정보는 10분마다 한 번씩 위성 통신을 이용해 국립해양조사원으로 보내져요. 이 때문에 우리는 컴퓨터 앞에 앉아서 시시때때로 변하는 바다의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어요.우리나라는 현재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파도
위에서 출렁이는 배의 움직임은 대표적인 저주파수 진동이다.]비밀은 진동에 있다.
파도
위에서 출렁거리는 배를 보자. 2~3초마다 한 번씩 위아래로 출렁거린다. 주파수는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말하므로 수직으로 진동하는 배의 주파수는 1/2~1/3Hz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르면 인체에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보낸 문자 메시지다. “시작.” 얼마 뒤 발밑에서 바닥이 일렁이는 느낌이 들었다.
파도
에 출렁이는 배를 타고 있는 느낌이었다. 근처 입주 직원들에게 묻자 “7월 5일 문제가 됐던 진동과 거의 똑같다”라고 말했다.이날 대한건축학회는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사람들이 테크노마트 건물의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물 위에 떠올라 일반 선박처럼 운행할 때는 어떤 저항을 받는지를 실험할 수 있다.
파도
에 대한 저항도 발생하기 때문에 잠수함은 물속에서 운행하는 것이 속도가 더 빠르다.➋ 해양연 해양탐사장비연구사업단이 국산 무인잠수정 ‘이심이’를 개발하고 있다. 이심이는 방위산업용으로 만든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달고, 여기서 얻은 이미지를 컴퓨터로 해석합니다. 로거미사일이 실전에 배치되면
파도
위를 스치며 달아나는 반잠수정도, 고무로 만든 공기부양정도 모두 공격할 수 있게 되니 서해 안보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백 소장은 또 “최근 개발 사실이 공개된 한국형 공중요격 미사일인 ‘‘철매’도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바꾼 위대한 상상력해수리튬연구센터는 상상력의 승리다. 철썩철썩 부서지는 해변의
파도
를 보고 그 안에서 지상에서 구하기 힘든 자원을 떠올렸다. 하지만 상상으로만 그쳤다면 실제 자원을 얻는 일은 영영 불가능했을 것이다. 지구과학자들은 실제로 바닷속 원소의 양을 측정했고, 공학자와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물의 흐름에 따라 약간은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짓는 것도 중요해요. 공간의 특성상
파도
가 치고 물이 들고 빠지는 등 끊임없이 외부로부터 힘을 받거든요.무엇보다 10m 내려갈 때마다 1㎡ 당 1㎏ 씩 무거워지는 수압에 견딜 수 있어야 해요. 수압의 견딜 수 있는 건축물의 비밀은 제가 지금부터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다양하게 주변 환경을 바꿀 수 있다”며 조이스틱을 건넸다. 버튼을 누르자 조금 전까지
파도
가 높게 일렁이던 바다가 잔잔해졌다.빙산의 이동경로는 바람이나 해류의 방향, 수온 등 다양한 환경 조건을 시뮬레이션한 뒤 결정한다. 시마르 연구원은 “빙산을 빠르게 운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양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