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결
너울
웨이브
파랑
바다
wave
파동
d라이브러리
"
파도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높이 건물만큼 높은 높이란다. 쓰나미는 우리가 해안가에서 보는
파도
와는 차원이 달라.
파도
는 바닷물의 표면이 출렁이는 현상이지만, 쓰나미는 물 전체가 움직여서 일어나는 해일이거든. 판경계 부분의 지각이 미끄러지면서 발생한 지진의 에너지가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엄청난 파괴력을 갖게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분석했다. 흥미롭게도 거품이 작을수록 높은 음을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로
파도
소리를 이용해 거품의 크기를 알 수 있게 됐다.민물에서는 거품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민물에서도 거품이 잘 생기는 곳이 있다. 바로 폭포다. 이곳은 물과 공기가 활발하게 섞여 거품이 잘 생긴다.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칼라영상과 유사하게 만들 수 있다. 편파는 전파가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파도
와 비슷하게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이며 나아가는 것이다. 아리랑5호는 편파를 수직이나 수평으로 선택해서 쏘고 받을 수 있다. 각 편파마다 반사되는 특성이 달라 이들 정보를 분석하면 식물 및 나무의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책임연구원은 “방사성 물질이 일본에서 먼바다로 나가려면 우선 이
파도
를 극복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고 말했다.일단 근해로 나간 물질은 ‘바다의 강’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경로가 결정된다. 그런데 미국 해양대기청의 측정 자료로 만든 지도를 보면 후쿠시마 근처의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과학기지에서 실시간 관측한 너울성
파도
는 약 5시간 만에 동해안에 도달한다. 너울성
파도
의 특성과 만들어지는 과정도 조사해 예보 시스템을 구축하면 연안에서의 인명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할 수 있다.독도의 지리적 환경은 근해라기보다 원양에 더 가깝다. 동해에는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 ...
첨단 기술로 배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안녕? 난 바다의 귀염둥이 돌고래야!방금 ‘뿌웅~!’ 하는 소리 들었지? 인간들이 만든 거대한 물고기가 지나가고 있어.저 물고기는 저렇게 큰데도 어떻게 물 위에 떠서 ... 위아래로 진동시키면, 물이 함께 출렁이면서
파도
가 만들어진다. 야외 수영장의 인공
파도
도 똑같은 원리로 만든다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순식간”이라며 “바닷물이 육지에 머무른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파장이 너무 길어 다음
파도
가 오기까지 수십 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들어올 때보다 돌아나갈 때 지진해일파는 더 큰 가속도를 갖기 때문에 물이 빠질 때 침식 피해도 상당하다”고 말했다.6 지진의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석영반암)이 지표 가까운 곳에서 냉각되면서 수직 및 수평절리를 만들었고, 이 지형은
파도
로 풍화,침식되면서 빌딩 숲 같은 형상을 완성했다. 특히 바닷물이 들어왔다 나갈 때면 물에 씻긴 바위의 표면이 반짝반짝 빛난다. 크고 작은 그리고 높고 낮은 건물들처럼 내 눈 속으로 들어왔다. 대도시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더욱 멀어지고, 해류와 만나면 곡선으로 말리기도 한다. 이렇게 생긴 해빙의 모습이 마치
파도
치는 듯한 광경을 보여 주고 있다. 붉은색 부분은 빙하에 묻혀 있던 땅이 밖으로 노출된 것이다.] [귀신 들린 바다 핀란드와 스웨덴 사이 알랜드 제도 주위에 떠 있는 얼음 조각이 발틱 해의 짙은 바다색을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정도 파손되더라도 안전하게 떠 있을 수 있는 구조를 연구하는 일이다. 연구팀은 가상
파도
를 만들 수 있는 예인수조에 모형배를 띄워 두고 불철주야로 연구하고 있다.이 밖에도 요트의 돛 형태를 바람의 흐름에 맞춰 설계하는 ‘유체구조연성’ 등 선박공학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