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결
너울
웨이브
파랑
바다
wave
파동
d라이브러리
"
파도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섬세하고도 강렬한 모양은 보면 볼수록 놀랍게 다가왔다. 거미를 닮았는가 하면 폭풍의
파도
를 연상시키기도 하고 날카롭고 으스스한 마귀할멈의 얼굴로 보이기도 했다. 타란튤라의 가장자리에는 초신성 1987A가 숨어 있다. 최후를 맞은 별이 자기 몸을 이루던 별부스러기를 격렬하게 내뿜고 있는 ... ...
[culture] 발로 느끼는 숨 막히는 절경 그레이트 오션 워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년 전,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기에 지각변동으로 생긴 석회암 바위지역이 긴 시간 동안
파도
와 바람에 깎여 기기묘묘한 풍광을 보여 준다. 이 중 12사도 바위는 18세기경 최초로 이 지역에 도착한 영국인들이 바다 위에 떠 있는 12개의 바위를 보고 예수의 12제자들을 떠올리며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오션 돔 ▲ 북극해와 남극해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갑자기 밀려온 엄청난
파도
나 쓰나미는 어떻게 생겨 난 거지? 남극 세종기지, 기후변화 등 궁금증이 있다면 관련된 단어를 손으로 눌러 봐. 지구본 스크린과 벽면 스크린에 관련 영상이 나타나 궁금증을 풀어 줄거야!조력발전 ▲ 댐을 ...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하와이
파도
만끽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나는 바다에서 솟구치는 ‘폭탄’의 힘과 아름다움을 즐긴다. 최고로 장엄하고 화려한 순간을 처음 포착했던 그날부터, 난 ‘
파도
파파라치’가 됐다.” - 클라크 리 ... 몇 초 동안만 장관을 이루는
파도
를 잡는 비결이다. 여름 무더위를 한 방에 날려 보낼 그의
파도
사진을 만나보자 ... ...
바다 밑 생명체 대왕 오징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300~600m의 심해에 살던 대왕 오징어가 먹이를 따라 얕은 바다까지 올라왔다가 힘이 빠져
파도
에 떠밀려왔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거대 괴물의 실체가 우리 가까이에 존재하는 걸 보면, 인간의 상상력만큼 자연의 다양성도 끝이 없음을 알 수 있다.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결과를 여러 관점에서 해석해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는 편이 더 좋았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파도
의 특성을 물리적으로 접근하면 방파제나 잠제에 왜 퇴적 현상이 일어났는지를 밝힐 수 있다. 여기서 각각에 발생한 퇴적물의 특징(왜 방조제와 잠제 뒤에 쌓이는지, 왜 잠제보다 방조제 뒤에 더 많이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방조제 앞쪽에 섬이 있어
파도
를 막아주기 때문에 높이를 8.5m로 설정했다. 중국 쪽에서
파도
가 가장 크게 밀려오는 4공구는 방조제 높이가 11m다. 이런 높이 차이를 자동차를 타고 오는 동안에는 전혀 느끼지 못했다. 3공구는 4공구에 비해 피복석도 작다. 3공구의 피복석은 1t 내외지만, 4공구 피복석은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것이다. 결국 전복은 ‘껍데기가 납작한 고둥’이다. 좁은 바위틈에 틀어박히거나
파도
가 심한 바위나 돌에 달라붙다 보니 이런 모습을 갖게 된 것이다.전복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타원형의 껍데기 위에 한 줄로 뚫려 있는 구멍(호흡공)이다. ‘구공라(九孔螺)’라는 별명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때가 황복이 강을 거슬러 올라올 무렵이라네봄은 역시 황복의 계절이다. 소동
파도
봄기운보다 곧 식탁에 올라올 황복의 맛에 더 정신이 팔렸다. 황복의 맛을 ‘일사(一死)를 불응할 맛’이라며 찬탄할 정도였으니 그럴 만도 하다.황복 요리의 대표주자는 역시 회다. 종잇장처럼 엷게 떠 투명한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활공하는 방식으로, 일부 새들은 바다 위
파도
가 형성하는 기류를 타고 마치 ‘위그선(
파도
가 만드는 기류를 이용해 바다 위로 2~3m 가량 떠서 이동하는 배)’처럼 미끄러지듯 이동한다. 한반도 철새 연구자는 ‘멸종위기’ “바이오 분야가 뜨면서 생물학을 전공한 학생들 대다수가 조류 연구에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