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스티븐 호킹 박사와 로저 펜로즈 옥스퍼드대 교수. 옥스포드대 제공 해마다 10월 초가 되면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데 누가 그리고 어느 분야가 선정될지 설레는 마음이 된다.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은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젤, 안드레아 게즈에게 수여됐다. 모두 블랙홀에 대한 이해를 확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1997년 9월 필자가 겐첼 교수와 함께 한 알프스 등반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맨 오른쪽이 필자인 박수종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이며 오른쪽에서 두번째가 라인하르트 겐첼 교수다. 박수종 교수 제공.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와 라인하르트 겐첼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 ... ...
ESS 화재 오명 극복할 배터리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김희탁 KAIST 교수. KAIST 제공.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시공간적 제약이 있어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필요할 때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 ESS에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노벨상재단 홈페이지 캡처 2020년 노벨상 첫 수상자 발표가 다가왔다. 5일 오후 6시 30분(한국시간) 생리의학상 발표를 시작으로 6일 오후 6시 45분 물리학상, 7일 오후 6시 45분 화학상, 8일 오후 8시 문학상, 9일 오후 6시 평화상, 12일 오후 6시 45분 경제학상 순으로 수상자 발표가 시작된다. 이 가운데 생 ... ...
테슬라가 공개한 야심 기술 탭리스 배터리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나선형으로 꼬아서 지붕 쌓는 듯한 형태(shingled spiral)’로 만들어진 탭리스 배터리. 테슬라 제공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가 23일 개최됐다. 배터리데이는 테슬라가 새로 개발한 배터리 기술과 생산 계획 등을 공개하는 자리로 전 세계 자동차 업계와 주식시장의 이목이 쏠리는 행 ... ...
일론 머스크 “3년 내 2만5000달러짜리 테슬라 전기차 내놓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테슬라 주주들이 자동차를 타고 배터리 데이 행사를 지켜보고 있다. 유튜브 라이브 캡쳐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3년 내 2만5000달러(약 2900만원)의 전기차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 비용을 낮추고 에너지 저장 용량을 늘리는 기술을 통해서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 등 ... ...
전기차의 미래 '테슬라 배터리 데이' 투자자들 관심속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유튜브 라이브 캡쳐 전기차 기술의 미래를 조망하는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가 개최됐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한달 안으로 완전자율 주행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겠다는 예고와 함께 차세대 배터리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 ... ...
국산 무인기 토종 배터리 싣고 가장 높이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체공 시간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이 책임연구원은 “리튬이온배터리는 이론적으로
에너지밀도
가 최대 500Wh/kg이지만 리튬황배터리는 2000Wh/kg에 이른다”며 “리튬황배터리를 이용하면 향후 태양광 무인기의 비행 거리와 시간을 더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무인기 비행이 ... ...
‘전고체전지’ 핵심 고체 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고체 전해질을 양극에 균일하게 분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높은
에너지밀도
를 가진 전고체전지용 양극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액체 전해질 기반 리튬이온전지 양극을 제조하는 기존 생산라인을 거의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 ...
에너지 덜 먹는 냉장고 기술 개발한 송계영 LG전자 연구위원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9월 수상자로 송계영(왼쪽) LG전사 연구위원과 윤원식(오른쪽)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연구소장을 선정했다.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9월 수상자로 송계영 LG전자 연구위원과 윤원식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연구소장을 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