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너지
에네르기
밀도
뉴스
"
에너지밀도
"(으)로 총 582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튬이온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미국의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 기업 테슬라가 호주 남부 애들레이드 근처에 2017년 건설한 혼스데일 전력저장시설이다.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해 만들었다. 공학자들은 나트륨이나 칼륨 등 보다 싸고 풍부한 소재를 이용해 차세대 이온배터리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호주재생에너지청 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일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탈출한 미국인 탑승객들을 태운 전세기가 17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래클랜드 기지에 착륙한 모습이다. AFP/연합뉴스 제공 천지는 어질지 않으니 만물을 풀이나 개로 삼는다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왕필의 노자》에서 나 또한 누구 못잖게 코 ... ...
스티커처럼 자유롭게 뗐다 붙이는 이차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연구진이 개발한 스티커형 이차전지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어떤 물체나 표면 등 원하는 곳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스티커 형태의 이차전지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윤하나 분리변환소재연구실 선임연구원이 김영진 KAIST ... ...
커피서 카페인 뽑아내는 '초임계유체'로 수소연료전지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1
조용훈 강원대 에너지공학부 교수(왼쪽)와 안치영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연구원은 초임계유체상태의 아이오노머를 적용해 수소연료전지 성능을 높이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원두에서 카페인을 뽑아내거나 의약품이나 화장품, 향료에서 물질을 추출하는 데 쓰이 ... ...
새로운 기능성 소재 설계 오차율 10%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KAIST 연구팀이 기존에 오차율이 40%에 달했던 소재 물성 예측 분야에서 오차율을 10% 이내로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반데르발스 힘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기술로, 배터리 소재, 에너지 전환 촉매 소재, 2차원 나노 소재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 설계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KAIST 제공 국내 연 ... ...
세계 10대 화합물 '염소' 값싸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곽상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와 정관영 박사, 주상훈 교수, 임태정 박사과정생(왼쪽부터)은 염소를 더 싸게 만들 수 있는 저렴한 촉매를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살균이나 소독에 쓰이는 세계 10대 화합물 염소를 기존보다 값싸면서도 더 높은 효율로 만들 수 있는 ... ...
로봇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1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의 산업 싱크탱크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최근 인간 노동과 로봇의 보급 미래를 전망한 ‘로봇과 생산,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는 산업현장에서 로봇의 활용은 생산성 향상과 더 많은 제조 분야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 잠재력과 직결되고 있다고 ... ...
ESS 화재 위험 줄인 새 이차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김희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쓰이는 새로운 개념의 물 기반 아연 브롬 전지를 개발했다. KAIST 제공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이차전지의 화재 위험을 줄이면서도 에너지효율은 유지하고 내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우주배경복사탐사 위성(WMAP)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NASA가 분석한 우주팽창론 개념도. 출처 위키피디아 우주가 점점 빨리 팽창하고 있다는 유명한 천체물리학 이론인 우주가속팽창이론과 이를 뒷받침하는 '암흑에너지'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속팽창을 확인한 중요한 관 ... ...
사실보다 더 사실같은 VR용 디스플레이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김상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윗줄 왼쪽에서 두번째)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 기술을 활용한 고해상도 LED 디스플레이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기존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해상도가 수십 배로 향상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제작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