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염된 야생사향고양이에서 시작됐다.박쥐 무리는 바이러스가 살기 좋은 다섯 가지
환경
을 모두 갖추고 있다. ❶ 종이 다양하다. 포유류 4600종 중 박쥐가 925종이다(약 20%). ❷ 많은 무리가 모여 산다. 한 동굴에 수백만 마리가 모여 살아 바이러스가 퍼지기 쉽다 ❸ 수명이 길다. 약 25년을 사는데,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어찌어찌 들어간다 해도 기도상피세포의 세포벽이 가로막는다. 여길 통과해도 기존
환경
과 다르기 때문에 에볼라가 증식하고 복제하기 어렵다. 코빙거 박사가 발견한 공기전염 사례는 그럼 어떻게 된 일일까. 그는 최근 자신의 연구를 뒤집는 논문을 발표했다. 7월 25일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오염되는 등 재해에 대비해 우주식민지를 건설할 계획을 갖고 있다. 그 때 우주
환경
에서 인간이나 동식물이 살 수 있는지를 미리 알아보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환경
을 완전히 바꾸는 재개발 위주로 정책이 추진됐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공간과
환경
에 담겨있는 이야기와 역사를 살리는 방향으로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도시 재생’입니다.이에 따라 건축에서는 리모델링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건축물은 그것이 위치한 장소와 그 ... ...
위대한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튼튼한지 썰렁홈즈가 직접 타 봐야 한다는 것!미션3 동물친구 미로정원“이번에는 친
환경
장난감이지요. 숲과 동물들을 만날 수 있어요.”미로정원이다. 아이들이 즐겁게 놀 수 있게 나무와 동물들이 살고 있다. 안전하게 빠져나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썰렁홈즈와 함께 미로를 통과해 보자.미션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가면 꼭 말 썽이 일어난다.앞으로는 실제 로봇을 통한 검증뿐만 아니라 야외의 어떤
환경
에서도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연구 가 필요하다. 처음에 말한 드론 군집 비행도 실험실에 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 ...
인류와 데니소바인의 ‘결혼’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현생 인류가 (데니소바인과의 결혼을 통해) 멸종한 인류의 유전자를 받아들여 새로운
환경
에 적응하고 진화했음을 보여주는 매우 명백하고 직접적인 첫 번째 증거”라고 말했다.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경로를 통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연구하고, 광물학자는 운석의 성분을 분석해 우주
환경
을 예측하지요. 이런 연구를 위해 지금도 남극에서 추위를 이겨내며 운석을 찾는 과학자들이 많답니다.녹거나 폭발하지 않은 유성체로부터 만들어진 운석을 ‘시원운석’이라고 해요. 시원운석은 초기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만들고 실험을 해 봤어요. 배에 두께가 다른 철판을 씌운 뒤 파도치는 바다와 같은
환경
에서 배가 잘 뜨는지(부력), 흔들려도 다시 평형 상태로 돌아오는지(복원력) 실험해 본 거지요. 그 결과 32㎜ 두께의 철판을 씌워도 부력과 복원력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아무래도 철갑선인지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2년 뒤 러시아의 전신인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면서 많은 수학자들이 안정적인 연구
환경
을 찾아 미국과 유럽으로 자리를 옮겼어요. 저 역시 명효철 교수의 추천으로 1992년 초에 위스콘신대로 자리를 옮기게 됐답니다. 그때 대한수학회의 초대를 받아서 명 교수와 함께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어요.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