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획기적으로 늘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리튬과 그래핀이 만나면?송현곤 UNIST 에너지및
환경
공학부 교수팀은 꿈의 신소재인 그래핀을 이용해 리튬이온전지의 용량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저널 ‘앙케반테 케미’ 4월 9일자에 발표했다. 그래핀은 전도도가 높아 고용량 전지를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
과 문화까지 살리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갈대습지공원과 맑아진 수질 덕분에 시화호는 전국적인 철새도래지가 됐다. 지난 3월
환경
부가 발표한 ‘주요 철새 도래지 2014년 3차(3월) 동시센서스’ 결과에 따르면, 시화호는 낙동강하구와 용담-대정 해안지역(제주도 서부)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관찰되는 철새의 종 수가 많은 곳이었다(6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신경줄기세포와 도파민성 신경전구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신경줄기세포는 실험실
환경
에서 증식이 가능해 치료에 필요한 양만큼 충분한 많은 세포를 만들 수 있다. 도파민성 신경전구세포는 한발 더 나아가 파킨슨병 같은 신경질환 치료에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바로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작동하는 리튬이온전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를 주도한 이상영 UNIST 친
환경
에너지공학부 교수는 이온전도도가 좋은 ‘플라스틱 크리스탈 전해질’을 이용했다. 이 전해질에 고분자를 만드는 물질인 ‘단량체’를 혼합한 뒤 PET 고분자 틀 안에 넣고 20초간 자외선을 쬐어 주었더니, ... ...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5년도 NASA 샘플채취로봇대회 참가를 준비하고 있는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
환경
에 따라 로봇이 움직일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며 “이런 로봇을 제어할 무인자동화기술 역시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끌게 된 것은 큰 영광”이라며 “화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최고의 교육과 연구
환경
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UNIST는 지금도 미래를 위해 전진 중이다.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그래닉 교수는 해외 대학 대신 UNIST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미국에는 ‘아이는 어른의 ... ...
가면을 쓰는 비용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많은 사회에서는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또한 클 테니 말이다.이 기회에 내가 속한
환경
이 내 정체성을 얼마나 그대로 잘 받아 주는지 한 번 생각해 보자. 또 내가 누군가에게 빡빡한 기대를 들이밀며 힘들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도 함께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다. 모두, 다른 무엇이 아닌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해결하거나 필요한 시설을 만드는 곳입니다. 세상의 밑그림을 그리고 싶은 학생들이 건설
환경
공학부에 와서 잘 배우고, 지구를 살리는 지도자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느냐다. 이 것은 그 행성이 ‘정말로’ 쌍둥이 지구인지 아니면 그냥 지구와 유사한
환경
을 가졌지만 별로 관계는 없는 행성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건이다. 만일 지구에 달이 없 었다면 지구의 기후와 계절 변화는 지금과 크게 달랐 을 것이다. 달은 지구의 지축을 일정한 각도로 안정시키 는 데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못했어. 우리가 이렇게 오랫동안 잠만 잘 수 있었던 것은 싹을 틔울 수 없는 특별한
환경
에 있었고 몸의 껍질이 아주 단단하기 때문이래. 사람들은 오랫동안 잠만 잔 우리가 궁금해서 심어 보았어. 그랬더니 싹을 틔우고 큰 잎으로 성장해 꽃까지 피웠단다! 정말 대단하지 않니?외국에는 우리보다 더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